▲2100년까지 계속적인 기온상승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전염병 저감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환경일보] 정흥준 기자 = 기후변화가 전염성 질환을 발생하게 하는 미생물·매개체의 생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들어 한국에서 열대성 질병인 말라리아, 쯔쯔가무시 등이 급증하고 있는 이유도 기온, 강수량, 습도 등의 기후 변화가 원인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곤충의 발육기간 단축과 개체수 증가를 유발하며, 강수량 증가는 유충 서식지 확대 및 생존력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전염병 매개체는 기후변화에 맞춰 먹지 않던 먹잇감을 먹는 등 이상행동을 보이며 새로운 병균이 생겨나기도 한다.

에볼라의 경우 이상기후에 따른 생태 지역의 파괴가 과일박쥐를 도시로 진출하게 만들면서 사람들에게 전염 및 확산됐다.

영국 웰컴트러스트의 전염병 전문가 제레미 파랄은 “뎅기열만 봐도 1970년대까지 오직 7개 국가에서만 발병이 나타났지만, 현재는 100여개국 이상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말하며 기후변화에 의한 전염병 확산을 지적했다.

국내에서도 올해들어 뎅기열 환자가 274명이 신고됐고, 2013년 제주대 의대는 뎅기열의 매개체인 흰줄숲모기의 국내 서식을 확인하기도 했다. 뎅기열의 토착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우려섞인 지적까지 끊이지 않고 있다.

지자체 전염병 관리 여력 없어

그러나 아직 한국은 기후변화에 따른 전염병 문제에 대해 경각심이 부재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과 보건환경연구원은 권역별로 총 11곳의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미래감염병에 대비한 부서도 신설해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질병관리본부의 적은 인력을 가지고 5000만 국민의 건강을 다 들여다보는 것은 쉽지 않다”며, “지자체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4월 부산에서는 16개 보건소 및 116개 주민자율방재단이 참가해 공원 주변 위주로 모기유충 제거 활동을 실시했다. 광주는 오는 10월까지 여름철 집중 방역기간으로 정하고, 지역별 집중 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전염병 출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방역시스템향상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부 지역의 방역 활동과는 달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단순 분무소독에 그치거나 그마저도 소홀한 상황이다. 지자체 보건소도 마찬가지로 전염병 관리에 신경 쓸 여력이 없거나, 한 명이 온갖 질병 관리를 다 하는 것이 태반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전염병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행정자치부와 지자체장이 전염병 담당 공무원의 근무 조건과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jhj@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