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초 ‘세계경제포럼(WEF)’ 제46차 연차총회에 세계 각국 정·관·재계 수뇌들이 모여 정보를 교환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인공지능 로봇, 드론, 사물인터넷 등이 인간 생활 전반을 지배하는 시대를 의미하는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포럼 전 발표된 WEF 보고서에서는 기술 혁신으로 인해 2020년 경 전 세계 5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4차 산업혁명이 중산층을 파괴하고 불평등을 확대해 인류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기후변화 대응 실패, 자연재해, 국가 통치구조 붕괴, 실업, 물 부족 등도 위험요인으로 짚었다. 포럼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작년 지표면 온도가 산업혁명 이전 시대보다 처음으로 1도 높아졌다면서 가장 영향력이 큰 위험요소로 기후변화대응 실패를 선정했다.

세계 경제에 큰 위협 요소로 다가오는 기후변화와 관련해 유엔기후협약 이후 정부와 기업, 민간의 협력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고, 경제성장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전 세계 에너지의 약 40%가 탄소배출 없는 무공해 기술로 생산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신재생에너지로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더 개선된 에너지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히,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단지처럼 전력 생산처와 수요처가 멀리 떨어져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원을 스마트그리드에 통합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은 주목할 부분이다.

앞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가 8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에너지 기술은 물론 전력계통과 분산전원 시스템 구축에도 많은 투자가 요구된다.

환경 전문가들은 산업활동과 밀접한 기후변화 대응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주목하고, 새로운 대처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낸다.

4차 산업혁명에는 소유 대신 ‘공유’라는 메시지가 있으며 선도적인 기업들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정교하게 온도를 자동 조절하는 스마트 온도조절기는 가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20% 절감할 수 있다.

IBM은 ‘지능형 운영 센터’를 통해 기상데이터를 분석하고 재난 상황을 예측해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증가를 예방하고 있다. 4차 산업을 이끄는 기업들이 이미 재생가능에너지와 온실가스 감축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정치, 경제, 사회 등 거의 전 분야에서 개인, 단체 할 것 없이 지극히 폐쇄적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을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는데 한계를 보인다.

한국의 에너지원 비율, 공급 독점 등의 문제들이 4차 산업으로의 변화와 기후변화 대응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이미 시작된 4차 산업혁명을 외면하고 전통적인 시스템만을 고집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장점을 살리고 약점을 보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모든 경제주체들이 함께 논의할 장을 만들고 소통하면서 신뢰할만한 데이터들을 투명하게 교환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도록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