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은 인간을 포함한 무수한 생명체와 생활의 터전이다. 그 가치를 숫자로 표기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런데도 인간은 산업화와 문명이라는 미명하에 지난 수십년간 무참히 토양을 오염시키고 유린해왔다.

세계적인 도시화 및 산업화, 인구 증가로 무절제한 개발, 화학물질을 포함한 쓰레기 매립과 각종 대기오염물이 농축된 산성비, 유류나 화학물질 등의 유출 등이 심각한 상황이다.

토양오염은 외부 오염의 결과 자연 상태의 토양이 가지고 있는 자정능력을 상실하면서 발생하는 토양생산성 저하, 안전성 위협, 생태계 변화 등을 초래한다. 식량 및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와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UN은 전 세계 약 30%의 토양이 오염됐다고 지적했고, 2013년 12월5일을 ‘세계 토양의 날’로 선정하고, 토양 보전인식을 확대해가고 있다. 한국도 지난 1996년 토양환경보전법을 제정해 토양관리에 나섰으며 토양 오염 조사와 정화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지만 제도, 재정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토양은 일단 오염되면 복원하기가 매우 어렵다. 미생물 이용 복원 등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돼 현실적으로 사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최선의 대책은 예방이다. 인간이 추구하는 모든 경제활동은 토양오염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대로 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무책임한 개발을 억제하고 자연에 부하를 줄이며 토양이 본래의 정화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모든 활동에서 배려해야 한다.

경제활동으로 인해 각종 오염이 가중됐던 중국 또한, 토양 및 고형폐기물 분야에 800조원 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보호는 생산력을 보호하고, 환경개선은 생산력을 개발하며, 잘 보존된 환경은 가장 좋은 공공재라고 강조했다.

세계적으로도 토양 분야에 대한 투자가 물과 대기 분야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토양 오염은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가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건전한 활동을 유도해야 한다.

누구나 인터넷으로 토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해 토지 보전에 대한 국민 인식을 넓혀가야 한다. 정책입안자와 연구 및 기술자들 간의 소통을 통해 최적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정책과 기준이 입법화되도록 분위기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가장 바람직한 사회책임행위는 나로 인해 어떤 토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을까 예측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을 공표하고 실천에 옮기는 일이다. 이런 것을 사회적책임(CSR)이라고 부른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