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발 미세먼지와 국내 석탄화력발전 등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일기예보와 함께 매일 관심을 끄는 또 하나의 대상이 미세먼지 상황이다.

정부가 그저 발표나 할 뿐 딱히 근본적인 개선 활동을 하지 못하자 국민들은 각자 알아서 적잖은 비용을 들여 공기청정기를 구입하는 등 자구책을 쓰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투자한 공기청정기와 실내공기질 측정기 중 상당수가 성능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부가 최근 간이 실내공기질 측정기기(홈케어)와 실내공기질 측정치가 표시되는 공기청정기 등 17개 제품에 대한 실내 오염물질 측정농도 수치의 신뢰성을 조사했는데 이산화탄소를 제외한 미세먼지(PM10),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졌다.

어떤 제품은 톨루엔 농도 0㎍/㎥의 가스를 주입했는데도 1000㎍/㎥으로 표시되기까지 했다. 현재 홈케어 및 공기청정기에 수치가 표시돼 유통·판매되는 제품 총 14종 중 이번에 문제가 된 제품은 공기청정기 4종과 공기질 측정기 3종이다.

더욱 실망스러운 것은 이런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주체들 대부분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기업과 유명 중소기업들이라는 사실이다.

환경부는 제품 센서 사용 측정방법, 기기 구조, 유지보수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실험대상 제품들의 실내공기질 측정 신뢰도가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특히 수만원 대의 저가형 센서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게 관련 협회나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공기청정기에 설치된 저가 센서로는 실내공기를 제대로 측정하는 것이 처음부터 불가능했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브랜드만 믿고 구입하는 국민들에게 제 기능을 못하는 엉터리 제품을 알고도 판매하는 사기행각을 벌인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측정센서는 공기청정기 본래 성능에 해당되지 않아 정확도 표시를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지만, 업체에서 청정수준을 낮게 책정하고 그저 녹색표시등이나 켜지게 만든다면 사용자들은 알 길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환경부는 리콜명령 대신 측정수치를 제품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 오염도 추이만 확인토록 표시방식을 바꾸도록 권고한다지만 제조업체가 거부하면 강제할 방법이 없다.

애초에 이런 문제가 발생할 것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었는데 하지 않은 건지 아니면 탁상행정의 결과인지 묻고 싶다. 대책 없는 정부에 울고, 또 비열한 기업행태에 가슴 치는 국민들이 없도록 환경부가 서둘러 근본적인 해결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