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에서 시작되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가 마련됐다.



[국회=환경일보] 박미경 기자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가 부상하면서 극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북극은 지구온난화의 상징인 북극곰의 서식지로 기후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곳이다.


최근 들어 북극에 머물러야 할 찬 공기가 중위도까지 내려오면서 한반도에 이상 한파를 일으키는 등 우리나라 역시 북극의 기후변화로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극 연구가 기후변화 원인규명과 예측의 정밀도를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과 더불어 다분야 융합적인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국회의원 안상수 의원(자유한국당)·국회기후변화포럼이 주최하고 극지연구소(소장 윤호일)가 후원하는 ‘북극 기후변화 세미나’가 최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국립기상과학원 조천호 원장

지난해 열린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국제사회의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특별보고서에 ‘해양과 빙권’ 부문이 포함되면서 북극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산성화로 바다생태계 혼란 야기
북극해 해빙은 감소하고 있으며 해수면은 해마다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해수면이 10m 상승하면 지구 육지 면적의 2.2%는 상실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지구 온난화로 영구동토(녹지 않고 항상 얼어 있는 땅)가 녹으면 메탄 등 얼어있던 온실가스가 대기에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립기상과학원 조천호 원장은 “저장된 탄소 방출 가능성은 비가역적 부분이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다”며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가 분출되면 지구온난화는 극단적으로 가속화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기후변화는 해수온도 상승, 해수면 높이 상승뿐 아니라 해양산성화를 위협하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연간 24~34억톤 가량 흡수하는 바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할수록 점차 산성화되는데 pH가 떨어질수록 해양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선일보 한삼희 수석논설위원

조 원장은 “어린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산호는 해양산성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제한하지 않으면 산호초 파괴가 심각할 것”이라며 “이처럼 해양생태계 문제는 곧 식량문제와 직결되며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서 지구시스템 모델로써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구시스템 모델로 대응 필요
극지방에서 시작되는 기후시스템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종합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조선일보 한삼희 수석논설위원은 “기후변화 연구는 즉 ‘Big Science’로 독자 연구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삼희 수석논설위원은 지난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담은 책 ‘위키드 프라블럼(Wicked Problem)’을 발간해 주목받은 바 있다.


KDI 한국개발연구원 이명균 박사는 “한 학문, 한 국가에서 해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역·국제적 차원의 협력과 공동연구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제사회의 파트너십 역시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이라는 의견이다.


(왼쪽부터)KDI 이명균 박사, 극지연구소 강성호 부장, 중앙대 김정인 교수

한편 북극의 기후변화를 국민에게 적극 알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남극은 1900년대 초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됐으나 상대적으로 북극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최근 몇 십 년에 불과하다. 


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강성호 부장은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 역시 남극연구에 주력하고 있고 북극 연구를 위한 쇄빙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부분 경제학자들은 회의적인 반응”이라며 “보다 활발하게 북극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앙대학교 김정인 교수 역시 “북극의 심각성을 적극 알려서 여론을 형성해야 한다”며 “과학기술만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쉽게 다가가는 방안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glm26@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