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숲은 사람들의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물을 저장하며,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교육 및 휴식공간도 제공한다.

금수강산을 자랑하던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며 산림황폐라는 큰 아픔을 겪었다. 그래서 1973년부터 국가차원의 대대적인 녹화사업이 시작됐다. 산에서 낙엽채취를 금지하고 화전민들을 강제이주 시키는 등 강력한 행정력도 발휘했다.

그 결과 70년대 10㎥에 불과했던 산림축적이 40여년이 지나자 OECD 국가 평균보다 많은 146㎥에 이르렀다. 1982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는 한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산림녹화를 이룬 유일한 국가라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산림녹화, 복원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개발도상국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됐다.

위성영상을 활용해 현장 표본조사를 수행하고 산림현황을 분석하는 산림조사, 토양유실을 막고 식물이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는 사방(砂防)기술,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서 잘 버텨낼 식물을 선발하고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는 임목육종 기술 등은 세계 최첨단 수준에 와 있다.

반면 우리 숲이 미래 온실가스 흡수원이나 저장고 역할에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다. 산림녹화기에 심은 나무들이 어느새 장년을 넘겨 젊은 나무들처럼 왕성하게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없다는 것이다.

1990년대 이후 새로 심겨진 나무가 거의 없어 2050년엔 우리 숲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가 한계치에 이른다는 우려도 있다. 젊은 나무 비율을 높여야 한다.

고령 나무는 베어 탄소를 잘 저장토록 방부·보존 처리해 목조주택이나 가구 등을 만드는데 활용하고, 목재를 수확한 빈 공간에는 많은 탄소를 흡수할 어린 나무를 심어야 한다.

1997년 채택된 교토의정서에서는 조림을 비롯한 산림활동이 이산화탄소 흡수원과 저장고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2015년 COP21 파리협정 결정문에서는 기후변화 저감을 위해 산림 보전과 탄소흡수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해야 한다고 명시하기에 이르렀다.

원목의 83%를 수입하는 우리는 2015년에만 5조원 상당량을 수입했다. 목재 자급율을 1%만 높여도 500억 원의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다.

패러다임의 과감한 전환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젊은 숲을 만들기 위해 예산을 대폭 늘려야 한다. 식목일을 법정공휴일로 재지정하고 모두가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