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밝혀진 자료에 따르면 도시철도 노동자들은 대기환경기준상 미세먼지 ‘경보’ 발령 수준의 열악한 작업환경 속에서 일해 왔다. 매일 5시간 이상 운전하는 승무원을 포함한 전국 도시철도 종사자의 최근 3년간 직업성 천식, 폐질환, 기관지, 폐암 등 호흡기 관련 질환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로 인한 산업재해 발생은 근로자 10만 명당 91.3명으로 전체사업장 4.9명 대비 18.6배에 달한다. 지속적으로 미세먼지에 노출되다 보니 시멘트 제조업 근로자보다도 1.6배 높은 수준이다.

인천 도시철도의 경우 운전실 창문을 열지 않았을 때 초미세먼지 수준은 평균 136~160㎍/㎥, 최대 324㎍/㎥이고 창문을 열어도 평균 191.5㎍/㎥, 최대 324.4㎍/㎥으로 대기환경보건법 상 경보발령 수준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철도공사들은 객실 내 미세먼지(PM10) 수준이 80㎍/㎥ 내외로 기준치인 200㎍/㎥보다 양호한 수준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 광역시 도시철도 공사들이 제출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는 달랐다.

서울메트로의 경우 운전실 미세먼지(PM10)는 평균 115.7~137.1㎍/㎥, 최대 176.5~277.2㎍/㎥ 였고, 인천교통공사는 운전실 창문 미개방시 초미세먼지(PM2.5) 평균 136~160㎍/㎥, 최대 324㎍/㎥, 창문 개방 시 평균 191.5㎍/㎥, 최대 324.4㎍/㎥ 수준으로 불량했다.

객실 공기질 역시 터널 내 열차바퀴와 레일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철(Fe) 성분, 열차풍에 의한 먼지 등 외부 오염물로 인해 매우 좋지 않다.

도시철도공사들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터널 내 환기시설을 충분한 시간동안 가동치 않아 공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지하철, 역사 등의 미세먼지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은 일평균 PM10은 100㎍/㎥, PM2.5는 50㎍/㎥인 반면, 지하 역사나 대합실 등은 PM10 150㎍/㎥ 이하, 도시철도 차량인 경우 PM10 200㎍/㎥이며 터널과 운전실 등의 미세먼지 관리기준은 아예 없다.

다중이용시설과 실내공간에 대한 미세먼지관리는 대기환경기준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방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철도 승객, 승무원 및 노동자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시철도 공기질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지하철 역사마다, 운행 중인 지하철 객실마다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