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으로 인해 쓰러진 나무 <사진제공=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환경일보] 김은교 기자 = 최근 3년간(2014~2016년) 서울에서 발생한 풍수해로 대응한 건수는 총 3601건으로, 시설조치가 58.51%(2107건)으로 가장 많았고 긴급배수 37.21%(1340건), 비상급수 3.03%(109건) 등의 순이다.

 
이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다가오는 여름철을 맞아 풍수해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재난에 대비하고자 15일(월)부터 ‘2017 풍수해 대비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예방대책으로, 시민들의 자연재해 위기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풍수해 관련 ‘시민안전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풍수해 위기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될 시 의용 소방대원・시민산악구조대원 등 4개 단체 4615명이 거주지 주변의 붕괴・침수 등 전조징후를 감시하는 ‘재난정보통신원’으로 활동도 하게된다.


덧붙여 독거 중증장애인 등 재난약자의 안전을 확인하는 생활안전지원 활동과 태풍주의보 발효 3일 전부터 옥외 간판 등 바람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시설물이 설치된 건물을 방문해 교육도 진행한다.

한 발 빠른 재난대비 대책 마련을 위해 선제적 활동도 전개한다. 풍수해사고의 골든타임(30분)을 위해 풍수해 소방안전대책이 추진되는 기간 동안 ‘119긴급기동단’을 가동해 풍수해 위기경보 ‘관심’(예비단계)이 발령되면 재난대응 긴급구조장비를 점검하고, ‘주의’(비상단계)가 발령되면 각 소방서별로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지역 순찰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했다.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재난・사고를 대응하기 위한 대책으로 긴급구조체계를 가동한다. 태풍 주의・경보가 발령될 경우 평상시 출동 방법을 변경해 펌프차・구조차・공작차 등 각 차량이 개별적으로 현장으로 출동하는 ‘긴급구조 다중출동체계’를 운영하고, 풍수해 재난현장에서 대응 1・2・3단계가 발령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서울시 긴급구조통제단’이 가동돼 현장중심의 대응활동을 펼친다.

또한 119신고전화가 폭주할 경우를 대비해 재난신고 비상선포가 발령되면 서울종합방재센터 근무자수를 늘려 평소 40회선에서 76회선으로 늘려 접수를 받고, 접수가 불가능 할 경우 비상상황으로 체계를 전환해 서울시내 23개 소방서에서 접수를 받아 지령을 내리게 된다.

중랑천 범람으로 인해 안전조치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수해복구, 소방안전점검 등 생활재건 대민지원을 위한 복구대책도 세웠다. 풍수해로 인해 침수피해가 발생할 경우 주택 내・외부 및 집기류 등의 세척과 환경정리를 23개 소방서가 통합해 지원하며, 정비가 끝난 후 소방・가스・위험물시설에 대해 안전점검을 해 피해복구를 실시한다.

이외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하거나, 단수로 인해 비상급수가 필요할 경우 119에 신고하면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기상청의 예보에 따르면 올 여름 잦은 비가 예상되는 만큼 평상시에 거주지 주변의 위해요소를 확인해 주기를 당부드린다”며 “저희 역시 풍수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이 가진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겠다”고 했다.

여름철 풍수해 소방안전대책은 예방・대비・대응・복구대책의 내용을 골자로 5월부터 10월까지 추진될 예정이다.

 

kek1103@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