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기술과 4차 산업혁명 정책심포지엄이 14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렸다.


[국회=환경일보] 이찬희 기자 = 최근 국내외적으로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이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기술의 현주소를 살펴보기 위한 기후기술과 4차 산업혁명 심포지엄이 14일 열렸다.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심포지엄은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기후예측, 적응, 그리고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및 산업 성장 동력의 발굴과 확대를 위한 과제 도출과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4차 산업혁명, 이제부터 시작

먼저 토론에 나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황진택 원장은 ‘국내외 기후기술의 동향과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기본과 기술적 무기가 해법임을 전했다.

 

황진택 원장

황진택 원장은 먼저 리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 원장은 “기본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들이 정권이 바뀌면서 변화에 시기에 있다”면서 ”‘과연 누가 사업을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가 앞으로 4차산업 혁명의 도약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탈퇴를 결정한 사안을 예로 들며 “오히려 이상한 사람이 이런 결정을 내려, 결과적으로 기후변화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사람들도 이를 대응하도록 도와주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황 원장은 “긍정적인 효과를 이루는 것에 대한 기본과, 이를 실현해 줄 수 있는 확실한 기술적 무기가 필요하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했다.

 

기후변화 대응의 해결 방안으로 그는 현실적 옵션과 새로운 옵션으로 구분해 설명을 이어갔다. 현실적인 옵션으로는 ▷발전단가 저감 R&D 및 핵심부품을 국산화 ▷건물과 수송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 ▷미세먼지 저감, 새로운 옵션의 경우 ▷운영 최적화, 에너지 효율 개선을 기반으로 서비스 산업으로의 외연 확장 ▷에너지 산업 밸류체인에 걸쳐 새로운 융합 비즈니스 모델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그는 에너지 시장 주도권이 전환하는 상황에서, 시장 진입을 위한 정책 지원과 사업화 전략, 기술혁신을 통해 우리나라가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영화 GENIUS(지니어스, 2016년)를 예로 들며 “천재의 재능을 알아보는 조율사가 사회적 천재를 만든다”며 4차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리더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했다.

 

피할 수 없는 기후변화

이어진 패널토의에서 국회 기후변화포럼 부설 기후변화정책연구소 권원태 소장은 과학자의 입장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기후변화에 대응에 관한 적응과 완화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피할 수 없는 기후변화의 극한현상 증가로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기후변화정책연구소 권원태 소장

권원태 소장은 먼저 “기후변화라는 것은 전 지구적인 상황에서 봐야 한다. 작년 지구 평균 기온이 최고를 기록했는데 산업혁명 이후 1.1도 상승해 3년 계속 최고값을 갱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UN 산하 IPCC AR5(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ifth Assessment Report, 국제연합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보고서)를 예로 들며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할 것을 주문했다.

 

권 소장은 “IPCC AR5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를 2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 이산화탄소 상당 농도를 450ppm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며 이에 대한 기후기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450ppm이라는 수치는 온실가스의 농도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했을 때의 농도다. 또한 지난해 기준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1.1)은 지난해 예상치(2도)보다 반을 넘긴 것이어서,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현상의 증가로 지역에 따라 심각한 영향과 피해가 발생한다는 전망이다.

 

이어 권원태 소장은 “온실가스 농도를 환산했을 때 현재 440ppm이 넘긴 상태”라며 “그 이야기는 우리에게 남아있는 시간이 없다는 의미다”라고 말하며 에너지 기술로 인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여야 할 것을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의 대안은 “융복합과학기술”

이를 위해 권 소장은 융복합과학기술 꼽으며 “세계 모든 국가와 모든 분야에서의 협력이 필수적이다”이라고 말했다.

 

넓은 의미의 기후기술은 IPCC의 3개의 실무그룹(WGI, WGII, WGIII, 과학, 영향과 적응, 완화)으로 구분돼 있다. 이에 대해 권 소장은 “과학적 이해를 기반으로 미래 기후를 전망하고,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경제 분야의 개혁이 요구된다”며 미국을 본보기로 설명을 이어나갔다.

 

미국의 경우 1990년 지구변화연구법(Global Change Research Act)과 2005년 에너지정책법(Energy Policy Act)를 근거로 USGCRP(지구변화연구프로그램), CCTP(기후변화기술프로그램)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의 경우 그는 “지난 2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50개의 기술을 정리해 녹색기후기술백서를 발간한 바 있으며, 과거에도 녹색성장위원회에서 녹색기술 27개에 관한 기술소개서를 발간한 바 있다”면서 “이는 기후기술이 융복합과학기술로 관련 기관과 전문가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말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은 지능과 연결을 통한 지능정보사회를 의미하며, 기후변화 과학정보도 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4

차 산업혁명에 대한 예측을 위해 서비스를 구축·연계해 효율화할 것을 주문했다.


seanllichan@hkbs.co.kr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