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정부들이 사용했던 창조경제, 녹색성장, 지역균형발전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여하튼 사회, 경제 전 분야에서 거의 모든 행사의 제목 앞이나 뒤에 이 표현이 따라 붙는다. 오는 8월 말에는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 위원회’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환경 분야도 제4차 산업혁명 추진 물결을 타고 새로운 도전으로 나아가기 위해 분주하다. 작년 다보스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ICT기술 등에 따른 디지털 혁명에 기반을 두고 물리적 공간, 디지털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기술융합의 시대로 정의했다.

4차 산업혁명은 또한, 기술적 차원을 넘어 디지털 혁신을 통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중장기적 정책과 제도가 시급하다.

고용과 노동의 변화, 지식기반 산업의 본격화, 기후변화와 에너지 시스템 전환,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주권, 사이버 정체성과 로봇 윤리, 블록체인과 정부역할의 변화 등이 주요 현안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중요한 것은 신뢰할 만한 자료의 축적과 개방이다. 환경 분야에서 현재 빅데이터 기술 활용은 대기, 수질, 폐기물 등 개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업무전용시스템을 제외하면 약 86개의 정보시스템이 있고, 이중 33%인 28개를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 중이다. 그런데 이 시스템들은 개별업무 중심의 시스템으로 매체별 정보시스템의 융합과 연계 활용성이 부족하고, 데이터 품질수준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타 매체와의 융합과 연계가 가능하도록 개별 정보시스템을 표준화하고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최근 한국환경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전문가들은 환경데이터의 융합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환경정보융합센터’의 설립을 강조했다.

빅데이터 과제를 발굴, 기획하고 매체별·기관별 데이터를 표준화·수집하며 빅데이터 플랫폼을 운영하는 업무를 환경공단이 맡도록 하자는 취지다.

정보전략계획(ISP)을 수립해 환경정보 표준화방안을 제시하고, 로드맵을 만들고 이후 환경정보의 표준화 적용, 인프라구축, 시범과제 운영 등을 진행한다.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면 더욱 정확하고 빠른 매체융합정책 지원 및 양질의 환경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창고에 숨겨진 데이터가 아닌 국민을 위한, 대한민국을 위한 양질의 데이터를 만들고 연결시키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