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익 제주시 생활환경과장


[제주=환경일보]김태홍 기자 = 제주시가 ‘재활용품 분리배출 사전 앱’을 배포하면서 시민들의 불편사항을 적극 개선에 나서면서 쓰레기 관련 부서가 환경직렬보다 행정직을 투입하면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어 새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 ‘재활용품 분리배출 사전 앱’ 아이디어는 환경직이 아닌 행정직이 아이디어를 개발해 환경부서는 물론 타 부서에도 행정직렬들을 투입한다면 더 많은 성과가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시는 지난 6일부터 스마트폰에서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재활용품 분리배출 사전’ 앱을 배포했다.

‘재활용품 분리배출 사전 앱’은 스마트폰에 알람시간을 설정하면 재활용품 배출일을 놓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에 그날 배출품목과 배출가능 시간을 알려준다.

또한, 시민들이 재활용품인지 일반쓰레기인지 분류하기 어려웠던 라면봉지, 빨대 등의 품목도 검색을 통해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활용품 사전 기능과 쓰레기 불법투기 즉시 신고 기능, 대형폐기물 신고절차 및 수수료 안내 등의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설치방법은 스마트폰에서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에서 ‘제주시 재활용품 분리배출 사전’을 검색하여 다운 버튼을 눌러 내려 받은 후 설치하면 된다.

요일별 배출 품목을 보면 △월요일 플라스틱 △화요일 종이류, 병류, 불연성 쓰레기 △수요일 캔류, 고철류 △목요일 스티로폼, 비닐류 △금요일 플라스틱 △토요일 병류, 종이류, 불연성 쓰레기 △일요일 스티로폼, 비닐류, 플라스틱이다.

제주시는 24시간 재활용품을 배출할 수 있는 재활용도움센터(준광역클린하우스)를 공영주차장과 공원, 읍·면 선별장 등에 설치해나가고 있다.

7일 현재 제주시 연동(바오젠거리), 노형동(제주일고 남측)에 재활용도움센터가 설치된 상태다.
하지만 일반 클린하우스에는 종량제봉투를 사용한 가연성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는 매일 배출이 가능하나, 배출시간은 오후 3시부터 다음날 오전 4시까지다.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가 10월부터 시행되면 쓰레기 무단배출이나 재활용품 배출 요일 위반 등에 대해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특히 △요일별 배출제를 위반한 품목 배출 △재활용품 혼입하여 배출하는 경우 △△가연성 폐기물을 불연성 폐기물에 혼입하여 배출하는 경우 △종량제 봉투에 음식물류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등은 강력히 대처해 나갈 방침이다.

단속방법은 CCTV와 클린하우스 청결지킴이들이 현장 단속을 병행하여 실시된다.
제주시는 현재 청정환경국직원들은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오후8시부터 9시까지 2인1조로 15개조로 클린하우스점검에 나서고 있다.

고대익 제주시 생활환경과장은 “지난 1일부터 본격 시행된 재활용품 요일별 분리배출제에 맞춰 시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앱을 배포하게 됐다”면서 “많은 시민들이 앱을 활용하여 재활용품을 올바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고 과장은 “앞으로도 클린하우스 위치 서비스, 각종 쓰레기 관련 정책 정보 즉시 알림 등 시민 생활 편의 기능들을 계속 추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고 과장은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개선으로 민원들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면서 “제주시민들도 이제는 선진시민이 됐다고 본다”며 “앞으로도 더욱 분발해줄 것”을 당부했다.

올해는 ‘유래 없는 폭염’이 찾아와 너도 나도 할 것 없이 에어컨과 선풍기에 푹 빠져 있어도 한 치의 더위도 달아나지 않을 만큼의 폭염이 낮밤을 가리지 않고 푹푹 내리쬐고 있다.

하지만 청소관련 부서는 박원하 청정환경국장 진두지휘 아래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클린하우스 현장점검 등 무더위에 현장 속을 누비고 있다.

이들은 쓰레기 문제는 내가족의 청소문제로 접근하면서 국내 제일의 청소행정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아 시민의 한 사람으로 안심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재활용품을 늘리고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고 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일부 시민들은 몇 푼을 아끼자고 비양심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생기는 비용은 결국 세금이나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상승 등으로 국민 스스로에게 전가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 문제는 행정과 시민이 함께 가야 성공적인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것이다. 행정에서 도입한 제도를 지키지 않는 후진적인 시민의식이 늘 문제이기 때문이다.

개인에게는 이익이 될 것 같은 이 같은 행동이 사회 전체에는 불이익을 안겨줘 결과적으로 개인도 피해를 보는 ‘집합행동의 딜레마’에 빠질 뿐이다.


kth6114@naver.com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