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통화장치 연결 안 돼, 안전장치 고장으로 부상 위험

[환경일보] 김원 기자 = 장애인·고령자·어린이 등 교통약자를 위해 설치된 육교 승강기의 관리가 부실하고 출입문 안전성에도 문제가 많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주요 5개 도시(서울·경기·부산·대전·광주) 육교 승강기 63대를 대상으로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4대(6.3%)는 고장으로 운행이 정지됐고 내부 확인이 가능한 61대 중 22대(36.1%)는 비상호출버튼을 눌러도 응답하지 않아 승강기가 고장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1대 중 11대(18.0%)는 승강기 검사합격증명서가 부착되지 않았거나 검사 유효기간이 지난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손이 낀 상태에서 승강기가 운행돼 안전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장난 승강기 4대를 제외한 59대를 대상으로 문이 닫힐 때 어린이 손 모형을 넣어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약 절반(29대, 49.2%)에 해당하는 승강기는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모형 손이 낀 채로 문이 닫혔다.

왼쪽부터 ▷모형손이 낀 상태에서 운행되는 승강기 ▷승강기 앞 위험한 맨홀뚜겅 ▷비상호출버튼이 떨어져 나간 모습 

▷비상통화장치의 연결이 끊어진 모습  <자료제공=한국소비자원>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29대를 대상으로 승강기 문이 닫힐 때 안전 자동 되열림장치가 작동하는지 승강기 내부에서 조사한 결과, 안쪽 문에 손가락(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대략 3~4㎝)이 끼였다. 

특히 28대(96.6%)는 문이 다시 열리지 않고 그대로 운행돼 심각한 안전사고로 연결될 위험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어린이 동반 탑승 시에는 손가락 등이 끼이지 않도록 보호자들의 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63대 중 과반 이상인 42대(66.7%)는 점형블록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됐어도 파손되거나 잘못된 위치에 설치됐다.

59대(고장난 승강기 4대 제외) 중 14대(23.7%)는 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가 나오지 않았다. 이중 승강기 48대는 타고 내리는 방향이 달랐으나 해당 내용을 알리고 주의를 촉구하는 음성이 나오는 곳은 한군데도 없어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았다.

또한 63대 중 9대(14.3%)는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접근하기 어렵게 승강기 앞에 맨홀, 기둥 등이 설치되거나 단차가 심해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육교 승강기 안전관리·감독 강화 ▷미흡한 시설 보완 및 지속적인 유지·점검 등의 조치를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은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 육교승강기 777대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8.23~8.28)했으며, 문제가 됐던 비상통화장치 및 문닫힘 안전장치, 검사합격증 부착상태 등을 개선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