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작업 끝난 1226개 학교 중 60%에서 석면 잔재물 발견

석면해체가 끝난 학교 중 60%가 석면잔재물이 발견됐다.

[환경일보] 지난 여름방학을 이용해 석면해체 작업을 끝낸 학교 10곳 중 6곳은 여전히 석면 잔재물이 남아 부실 논란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은 "지난 여름방학 기간 석면해체 작업을 실시한 전체 1226개 학교 중 233개 학교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140개(60%) 학교에서 석면 잔재물이 나왔다"고 밝혔다.

여름방학 중 석면해체 작업을 완료한 학교에 석면잔재물이 남아있다는 학부모들의 문제 제기에 따라, 교육부가 나서 지난 8월24일부터 31일까지 석면 잔류 여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다시 석면잔재물이 검출된 것이다.

석면해체 작업을 완료한 학교의 석면잔류 여부 조사는 총 1226개 학교 중 석면해체 면적이 800㎡가 넘는 760개 학교에 대해서는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공단, 시도보건환경연구원, 산업안전보건공단, 석면환경센터(전남대, 선문대) 등이 총 24개반 76명으로 편성돼 합동조사를 실시하고, 800㎡ 미만 466개 학교에 대해서는 관할 교육청이 자체조사를 하고 있다.

조사는 9월4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되며 결과는 26일 경 발표할 예정이다. 12일 현재 합동조사 대상 760개 학교 중 233개 학교에서 석면으로 의심되는 잔재물을 채취해 36개 학교의 시료분석이 완료됐는데, 36개 학교 모두 석면이 검출됐다. 

반면 석면 잔재물이 없는 깨끗한 학교로 확인된 곳은 전체의 7.6%에 해당하는 93개 학교에 불과했다.

이 같은 추세로 볼 때 전문가들은 석면해체 작업을 한 1226개 학교의 60%에 상당하는 730여 학교에서 석면 잔재물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선 교육청의 허술한 관리감독을 원인으로 지목한다. 경기 지역의 한 학교 교직원은 "석면해체가 부실해 다른 업체를 불러 점검했더니 석면잔재물이 남아 있었다"라며 "지역교육청에 따졌더니 석면해체작업을 했던 업체가 가져온 검사서를 들이대며 오히려 학교가 잘못했다는 식으로 나왔다"라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 역시 "그간 석면해체를 다뤄본 환경부나 고용노동부가 아닌 교육부와 교육청이 주관하다보니 보여주기식 석면해체가 많다"며 "철저하게 감독을 해도 될까 말까한 사업을 이런 식으로 했다가는 결과가 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창현 의원은 “학생들의 건강보호를 위해 석면잔재물이 남아있는 학교의 작업구역에 대해 즉각 출입통제 조치 후 정밀청소를 실시하고, 공기 중 석면농도를 측정해 석면 잔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석면해체 작업을 부실하게 한 시공업체와 감리업체에 대해서는 강력한 재발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