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선 국회의원 출신 유력후보 거론, 전문성 제로
줄줄이 계속된 낙하산 인사에 인사·조직 ‘휘청’

[환경일보] 김은경 환경부 장관의 취임 이후 앞으로의 인사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가늠자가 될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인사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과연 김 장관이 한 말처럼 청와대에서 전권을 위임 받았는지, 아니면 전 정권처럼 무늬만 환경부 장관으로 남을지를 환경부 모든 직원이 주시하고 있다.

물론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임명권은 대통령에게 있지만 임명권자에게 제청하는 것은 국립공원관리공단을 산하기관으로 두고 있는 환경부 장관의 몫이기 때문이다.

청와대가 시민단체 출신인 김은경 장관을 환경부 장관으로 낙점했던 것처럼 김 장관 역시 힘의 역학 관계에 휩쓸리지 않고 국립공원을 위한 환경 분야 전문가를 임명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역대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자리는 대부분 정권 창출에 공을 세운 이에게 수고했다고 주는 공로상이거나 친정부 인사를 꽂아주는 낙하산이었다. <사진제공=환경부>

역대 이사장 대부분이 낙하산

그러나 돌아가는 사정은 녹록지 않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는 대대로 낙하산이 앉는 자리라는 인식이 강하고 실제로도 그래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역대 12명의 이사장 대부분이 비전문가, 속칭 낙하산이었다.

전문성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고 봤을 수도 있고, 국회의원 공천을 받지 못한 이에 대한 위로, 정권 창출에 기여한 이에 대한 포상 등의 갖가지 핑계로 비전문가들이 낙하산으로 임명했고 결과는 좋지 않았다. 아니 반대로 매우 나빴다.

어청수 전 이사장의 경우 경찰청장을 퇴임한 후 2011년 8월 11대 국립공원 이사장으로 취임했고 고작 2달 만인 2011년 10월 대통령 경호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력서에 한줄 첨가되는 것 외에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였다.

뒤를 이은 12대 정광수 이사장의 경우 산림학 박사 학위가 있는 전문가이기는 하지만, 산림청장에서 퇴임한 후 2011년 12월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으로 취임한 것이 논란이 됐다.

산림청과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대대로 사이가 매우 나쁜 앙숙 관계였기 때문에 정 이사장 인사에 관심이 쏠린 것이다.

당시에는 ‘산림청 직원이 국립공원에 업무 때문에 들어가도 입장료를 받는다’는 우스갯소리가 나돌 만큼 사이가 안 좋던 때였고, 이 때문에 산림청이 국립공원을 흡수하기 위해 ‘트로이 목마’를 보내온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돌았다.

전임 이사장인 박보환 이사장은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뒤 13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한나라당 재정경제위원회 수석전문위원을 지내는 등 전형적인 정치인 출신임에도 아무런 관련이 없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으로 취임한 것이다.

박 이사장은 탄핵정국과 맞물려 임명권자가 없는 관계로 임기를 마친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사장직을 맡았고 4년이나 이사장 자리를 지키다 지난 8월 말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처럼 연달아 전문성이 없는 낙하산 인사가 연달아 내려오면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말 그대로 쑥대밭이 됐다.

‘승진한 아무개가 누구에게 줄을 잘 섰기 때문이라더라’, ‘이번에 입사한 아무개가 정치인 아들이다’ 등의 각종 유언비어가 나돌았고 일부분은 사실로 드러났다.

실제로 국립공원관리공단에는 환경부장관, 이사장 표창을 받는 등 좋은 근무성적에도 20년이나 승진을 하지 못한 사례가 있는 등 이해하기 힘든 인사가 곳곳에서 발견된다.

인사발령이 나면 전국의 국립공원을 옮겨 다녀야 하고 공공기관 중 근무여건이 나쁘기로 유명하지만 ‘국립공원을 지키는 파수꾼’이라는 자부심 하나로 버텨온 직원들의 사기는 당연히 곤두박질할 수밖에 없었고 낙하산 인사들의 안하무인식 태도에 노조와의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국립공원은 낙하산 인사가 차지해도 좋을 만큼 쉬운 자리가 아니라 연간 4500만명의 국민이 찾는 중요한 곳이다.

국립공원 이사장은 정권 창출 전리품?

이제 관심은 14대 이사장으로 누가 올 것인지에 쏠리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인사추천위원회가 지난 15일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했고 후보자를 3~5배수로 추린 뒤 환경부에 전달하면 환경부 장관이 최종 후보자 2~3명을 정해 청와대에 재청해 대통령이 이사장을 직접 임명하는데, 이 과정이 통상 3~4주 정도 걸린다.

문제는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이 이번에도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라는 것이다. 이미 여의도에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이 이미 결정됐고 공모는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C씨의 경우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하고 민주당에 합류해 지역선대위원장을 맡았다.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3선 의원으로, 내년 지방선거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에 지원했다. 당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불안한 경선보다는 편하게 앉을 수 있는 자리를 택한 것이다.

특히 C씨의 경우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자신의 지역구가 국립공원 구역에서 제외되도록 국립공원 구획조정을 추진하기도 했다.

국립공원이 지역 발전에 해가 된다고 빼달라고 했던 국회의원이 이번에는 자신이 국립공원 이사장이 되겠다고 신청하는 아이러니를 선보인 것이다.

게다가 C씨는 3선에 성공한 국회의원이면서 중간에 공기업 감사를 맡아 낙하산 논란을 불러일으킨 전적이 있다.

이처럼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에 낙하산 인사가 올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한 가운데, ‘국토부 2중대’라는 오명을 벗어던지기 위해 시민단체 출신을 장차관으로 임명한 환경부가 과연 적절한 인사를 통해 거듭날 수 있을까?

연간 4500만명의 국민이 찾는 국립공원을 책임지는 수장 자리에 이번에도 전문성 없는 낙하산 인사가 내려온다면 다음에 이어질 환경부 인사 역시 권력에 휘둘리는 인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