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재에 의한 우리나라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

1월23일, 일본 쿠사츠시라네화산과 필리핀 마욘화산이 분화했다.

[환경일보] 김민혜 기자 = 어제(23일) 일본 혼슈에 위치한 쿠사츠시라네화산의 주봉인 모토시라네산이 분화했다.

분화 후에는, 23일 16시 기준으로 총 382회의 화산성 지진이 관측됐으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쿠사츠시라네화산은 수증기 폭발 위주의 소규모 분화를 반복하고 있으며, 현재는 화산경계레벨 3으로 화산 접근이 금지된 상태다. 일본은 총 5단계(1~5)의 화산경계레벨 체계를 갖고 있으며, 5단계가 최고 위험 단계로 분류된다.

쿠사츠시라네화산은 1932년 화산폭발지수(VEI: Volcanic Explosivity Index) 3의 분화로 9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1971년과 1976년에는 화산가스로 인해 각각 6명과 3명이 사망한 바 있다.

필리핀 마욘화산은 이달 13일부터 분화를 시작해 현재까지 활동이 이어지고 있으며, 화산재가 높이 5km 이상 분출하고 있는 상태다. 오늘(24일) 7시25분(한국시각)에도 분연주 높이 약 7.5km의 화산재 분출이 있었다.

마욘화산은 작년 10월부터 화산체가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관측됐으며, 현재는 화산경계레벨 4 로 화산주변 8km 이내 접근이 금지되고 있는 상태다. 필리핀의 화산경계레벨은 총 6단계(0~5)로 나눠지며 5단계가 최고 위험 단계다.

마욘화산은 1600년대 이후 화산폭발지수 3 이상의 분화가 16회 발생했으며, 1814년 화산폭발지수 4의 분화로 12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일본 쿠사츠시라네화산과 필리핀 마욘화산은, 지진 및 화산활동이 활발한 환태평양지역에 위치하여 화산활동이 지속되고 있는 활화산이다. 일본 쿠사츠시라네화산은 수증기 반응에 의한 분화이고, 필리핀 마욘화산은 마그마 관입에 의한 분화인 것으로 밝혀졌다. 화산 분화를 일으킨 요인은 다를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적으로 마그마 관입에 의해 분화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