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주년 맞아 조직대개편, 지속가능발전연구 강화 기대

최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25주년을 기념하는 자리를 가졌다.

현장성과 전문성, 미래와 혁신, 신뢰와 공유, 자율과 책임이라는 핵심 연구 가치를 바탕으로 지속가능 국가 환경정책연구 선도, 미래 지향 환경평가 혁신, 열린 연구 및 성과확산 체계 구축, 공정하고 활기찬 연구공동체 구성 등 주요목표를 소개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물·대기·폐기물 등 환경 매체별 본부 중심 체계를 독립 연구기능을 갖춘 연구부를 중심으로 개편했다. 환경정책연구본부와 미래환경연구본부를 지속가능전략·사회환경·생활환경·기후대기·물국토 등 5개 연구부로 나눈 것이다.

특히, 사회환경연구부는 환경권 및 환경정의 관련 계획·정책 연구를 총괄하되 환경서비스 혁신, AI·빅데이터 응용, 사회적 가치 등 새로운 영역의 연구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조명래 원장은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사회를 위해 선도 국책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며, 진정한 녹색사회 전환에 도전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1992년 설립된 KEI는 설립배경이 여타 환경연구기관들과는 차이가 있다.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기관이다 보니 비교적 객관적 입장에서 환경이슈를 다뤄 왔다.

조 원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국책연구기관의 연구는 최종 고객인 정부의 만족도를 중요시하지만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인 만큼 정부가 바뀌더라도 지속되는 정책, 국민을 위한 정책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하다고 분명히 했다.

또한, 조 원장은 과거 1970~1980년대 KDI가 국책을 주도했고, 이후 국토연구원이 주도했다면 앞으로는 환경이 우선돼야 하며, 이제 KEI는 국민의 목소리를 담아 선도국책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사회적 지속가능성’이다. 지난 20년간 지속가능발전에 대해 많은 논의가 진행됐지만 아직도 그런 사회가 되지 못한 이유는 환경을 내재화하고 실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경제와 환경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반드시 필요한데 그것이 사회라는 것이다. 환경정책연구와 더불어 중요한 KEI의 다른 한 축은 환경영향평가다.

조 원장은 환경영향평가의 객관성과 독립성 보장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누구도 손대지 못하는 환경평가기구로서 위상을 세우는 것은 물론 사회인문적인 측면으로 평가영역의 확장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KEI는 환경권, 환경정의, 환경철학, 교육 등 분야에서도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밝혔다. 산업, 교통, 도시개발, 복지와 문화 등 주류정책들이 녹색화 돼야 지속가능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조 원장은 강조한다.

새로운 25년을 바라보며 다시 숨을 고르는 KEI의 행보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