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포럼 개최, 한·중·일·몽골 전문가 한자리
‘동북아청정대기파트너십’ 출범, 한중일 스모그 챔버 네트워크 구축

‘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포럼’이 지난 17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개최됐다. <사진=김은교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환경일보] 김은교 기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미세먼지PM센터, 사업단장 배귀남)‧과학기술정보통신부‧환경부‧보건복지부가 4월17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국제협력관에서 ‘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동아시아 지역 주요 국가가 공동으로 당면한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포럼으로, 한‧중‧일‧몽골 4개 국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로 마련됐다.

본 포럼은 ▷미세먼지와 건강 ▷한중일 스모그 챔버▷동아시아 미세먼지 오염과 국제협력의 3개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세션별 전문가 발표로 진행됐다.

배귀남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장

배귀남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장은 개회사를 통해 ‘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포럼’에서 전문가간 지식 교류와 선진사례 공유를 통해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이 포럼을 시작으로 미세먼지와 건강 그리고 동북아 스모그 가설 연구에 대해 동아시아 전문가들의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향후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호흡공동체 동아시아, 건강이슈 논의

첫 번째 세션인 ‘미세먼지와 건강’ 세션에서는 임연희 교수(서울대), Takashi Yorifuji 교수(일본, 오카야마대학), Haidong Kan 교수(중국, 푸단대학)가 한‧중‧일 국가별 미세먼지 노출과 건강의 역학관계에 대해 발표했다.

그중에서도 임연희 교수는 미세먼지가 어르신에 미치는 건강영향 관련 혈압, 심장박동 변이 등 심혈관 질환, 우울증과 같은 신경인지기능 영향 가능성 등을 소개했으며, Haidong Kan 교수는 중국 미세먼지가 중국인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내용과 미세먼지의 단기 및 장기 노출 연구 결과 등을 소개했다.

'한국의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어르신 인구의 건강 영향' 발표를 맡은 임연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미세먼지의 건강 영향에 관한 일본의 역학연구' 발표를 맡은 Takashi Yorifuji 일본 오카야마 대학교 교수

두 번째 세션인 ‘한중일 스모그 챔버 연구’에서는 임호진 교수(경북대), Kei Sato 박사(일본, 국립환경연구소), Min Hu 교수(중국, 베이징대학), 임용빈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가 동북아 미세먼지의 생성원인 및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2차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규명을 위해 스모그 챔버를 중심으로 가스상 물질의 화학반응 및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 본 세션에서는 특히, 서울에서의 장거리 외부유입 미세먼지 생성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광화학반응과 이에 따라 생성되는 미세먼지의 흡습성을 소개하기도 했다.

'질소산화물, 암모니아, 황산화물의 이차유기입자 생성 영향'을 주제로 발표한 임호진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교수
'중국의 스모그 챔버 연구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 Min Hu 중국 베이징 대학교 환경과학과 교수

국제협력 사례 및 주요 성과 교류

마지막 세션인 ‘동아시아 미세먼지 오염과 국제협력’에서는 안준영 박사(국립환경과학원), Amgalan Natsagdorj 교수(몽골, 몽골국립대학교), Masami Furuuchi 교수(일본, 카나자와대학), 박선영 교수(경북대)가 동아시아 국가별 미세먼지 대응 연구 및 국제협력 사례를 발표했다.

본 세션에서는 지난 2016년의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 나사(NASA)가 공동으로 연구한 ‘KORUS-AQ’의 개요 및 정책적인 시사점에 대해서도 소개됐다. 여기서 ‘KORUS-AQ’란 ‘KORea –US Air Quality Study’로, 국내 대기오염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반도 대기질에 대해 항공관측·지상관측·모델링 등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번 세션에서는 국가별 산업 특성에서 기인한 화학 성분들의 차이를 설명하고, 전 지구적 이동연구를 통해 미세먼지의 장거리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KORUS-AQ 캠페인의 정책적인 의미'에 대해 발표한 안준영 국립환경과학원 연구관
'몽골 울란바토르의 대기중 미량 원소 및 PM2.5의 오염원 기여도'를 주제로 발표한 Amgalan Natsagdorj 몽골 몽골대학교 화학과 교수

아시아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은 미세먼지 관련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공동 연구 및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1995년 한‧중‧일 국제공동연구(LTP)에서 출발해 2000년부터는 장거리 이동 공동 감시, 배출원-수용지 관계 도출 등의 연구를 단계별로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외 80개 기관 580여명의 과학자가 참여한 KORUS-AQ 공동 연구를 통해 항공기 관측기술 등 대기질 측정․분석 능력이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미세먼지관리 종합대책(2017.9.)’에 따라 올해 ‘동북아청정대기파트너십(NEACAP)’ 출범을 목표로 관련 국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는 등 미세먼지 공동대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국제 포럼을 계기로 매년 동아시아 국제 포럼을 정례화하고, 미세먼지 문제 공동 해결에 기여하는 한중일 스모그 챔버 네트워크 구축 등 글로벌 미세먼지 협력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