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패키징 기술로 순환경제 실현토록 정부 나서야

패키징의 하나인 플라스틱의 무절제한 사용과 폐기로 환경이 오염되고 있다. 플라스틱 생산량은 연간 3억1100만 톤에 육박했고, 향후 20년간 2배 이상 더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14%에 불과해 매년 최소 800만톤의 플라스틱이 버려져 바다로 유입되고 있다. 천연 소재 기반의 지속가능한 패키징 기술개발이 강조되고 있는 배경이다.

패키징은 제품의 첫인상이며 소비자의 구매여부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패키징은 또한, 제품의 기능향상과 환경보호를 함께 추구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높이는 과정이다.

제품의 생산과 사용, 재활용 등 전과정(life cycle)에 걸쳐 첨단기술과 디자인이 집약된 산업이다. 제품보호를 넘어 연결, 정보, 마케팅 기능을 포괄해 시장창출, 부가가치 제고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제조와 서비스의 중간 역할을 하는 2.5차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패키징 산업은 연 6%대 성장률을 보이며, 향후 30년간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1인가족의 증가, 고령화, 개인 여가시간 충족 등 사회 변화로 패키징이 제공하는 편의성의 방향 또한 전환중이다.

지속가능한 패키징은 최소한의 재료 사용과 최대한의 기능 발휘를 목표하며, 재이용과 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소각시 최대한의 에너지 회수, 매립시 분해용이 등 친환경적 효과로 지방자치단체 및 국가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패키징은 최신 소재, 첨단 IT 기술과 디자인이 접목해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시장을 여는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부는 고부가가치 창출 미래형 신산업 발굴 및 육성과 4차 산업혁명 대응에 필요한 친환경, 첨단 신소재·부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패키징이 바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그린 비즈니스 시대를 열 핵심으로서 패키징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 패키징의 중요성이 제대로 인정받고, 관련 기술개발 의욕이 고취되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패키징의 기술 측면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대한 흐름까지 읽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

전 세계 패키징 산업은 연간 1천조원 규모이며, 국내에서도 2014년 38조원에서 2020년엔 56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급성장하는 패키징 산업을 선점해 독보적인 일자리창출이 가능하며, 지자체의 재정확충에 기여하고, 지역을 넘어 국가와 세계 환경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패키징은 순환경제를 실현할 중요한 한 축으로 고려돼야 한다. 안타까운 것은 패키징 기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소기업만 담당하는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이다.

자부심과 열정을 북돋아 대한민국이 패키징 산업 선진국으로 나아가도록 함께 힘을 싣자.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