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정부지원과 정보제공 통해 타이밍 잡아야

세계 여러 선진 국가들이 수소 시대로 진입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수소는 지구상에서 거의 무한한 가장 풍부한 물질이고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미래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본은 작년에 총리가 나서 세계 최초 수소사회전환을 선언했고, 중국은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받아 수소에너지 및 연료전지 산업 혁신연합을 출범시켰다.

제러미 리프킨은 앞으로 수소가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인류의 전통사회방식을 뒤집을 것으로 예측했다.

2050년 경에는 수소 산업분야에서 매년 2조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30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수소는 무한하고 수소로 전기를 만들 때 오직 물만 나오고 유해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수소차는 직접 연소방식이 아닌 차량 내부 수소탱크에 저장된 압축수소를 연료전지에 보내 공기중 산소와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전기를 만들어 차량을 움직인다. 따로 배터리에 전기를 저장할 필요가 없고 차 자체가 발전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발전과정에서 유입된 바깥 공기는 공기 필터를 거치고, 막가습기를 통과하고, 탄소섬유종이 재질 기체확산층까지 지나면서 초미세먼지(PM2.5) 대부분이 걸러진다. 지난 2월 ‘한-인도 비즈니스 서밋’에서 모디 인도총리가 수소차에서 걸러진 공기를 마시고 극찬한 바 있다.

수소차 10만대가 4시간을 주행하면 약 70만명이 하루 숨 쉴 분량의 공기가 정화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그런데 한국은 2015년 12월 수소차 보급 및 확대계획을 정부가 발표한 이후 거의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계획대로라면 수소차 2500대, 수소충전소 30 곳이 올해 내 완성돼야 하는데 전반기가 끝나가는 지금껏 차는 190대, 충전소는 15곳이 전부다.

민간업체가 이미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를 양산 판매한 것에 비교하면 정부는 느려도 너무 느리다. 시장 확산을 위한 보조금 정책도 턱없다.

올해 책정된 수소차 구매 보조금 규모를 넘는 계약체결이 이뤄졌는데도 정부는 보조금을 늘리지 않았다. 가까스로 국회가 전기차 보조금을 전용하면서 500대 분 보조금을 추가 확보하는데 그쳤다.

세계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기술을 민간이 개발해 상용화하고 있는데 정부는 규정을 따지며 오히려 발목을 붙잡고 있는 셈이다.

수소차나 충전소의 폭발 위험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극복할 과제다. 수소가 공기보다 가볍고 확산속도가 빠르며, 누출돼도 바로 공기중 농도가 폭발 농도 아래로 떨어져 전혀 위험하지 않은데도 대중들의 막연한 불안감은 남아있다.

정확한 정보 제공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대목이다. 미래 수소사회로 전환하기 위해 정부가 서둘러 역할을 추진해야 한다.

수소차는 매우 구체적이고 실효성있는 미세먼지 대책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