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류 통해 러시아 가스 연결 등 수입 다변화 가능
탈석탄에서 재생에너지로… LNG 가교 역할 맡아야

[코엑스=환경일보] 탈원전, 탈석탄 시대를 맞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가운데 남북교류 활성화가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코엑스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KOFST, 이하 과총) ‘2018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제5분과 ‘안전·안심 사회로 가는 길’에서는 에너지 안보(security)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김연규 교수는 “중동과의 에너지 공급 장기계약 만료가 다가오는 시점에서 러시아, 미국 등이 이 계약을 따내기 위해 군침을 흘리고 있다”며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래 LNG 수출이 급격히 늘어 멕시코에 이어 한국이 두 번째로 많은 양의 LNG를 수입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의 LNG 수출 전략 강화 이후 한국은 멕시코에 이어 2번째로 많이 수입하는 국가가 됐다.

김 교수는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미국과의 교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으면서도 에너지를 수입하지 않는 3개국을 꼽았는데, 그게 바로 독일, 한국, 일본이었다”면서 “에너지 다원화 차원에서 미국으로부터의 수입 증대는 환영할만 하지만 독일, 일본과 달리 한국의 수입 증가는 너무 빠르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그는 “남북 교류 활성화로 북한을 통해 러시아 등 대륙과 연결되면 에너지 수입을 다변화할 수 있고 에너지 시큐리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탈석탄, 탈원전, 재생에너지 증가도 증요하지만 에너지 시큐리티 차원에서 여전히 화석연료가 차지하는 포지션이 있고, 연결고리로서 가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7일 코엑스에서 ‘2018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제5분과에서는 에너지 안보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김경태 기자>

북한 전력계통 취약 고려해야

숭실대학교 조성봉 교수는 “남북이 연결되면 러시아 가스를 수입할 수 있다. 또한 미국의 셰일가스 확대 등 외부 요인은 좋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북한에 100㎾ 발전소를 건설해도 전력계통망이 취약해서 남한을 거쳐 재송전해야 한다.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우 연세대 특임교수는 정부의 유연한 대응을 주문했다. 김진우 교수는 “외국에서 자원을 캐온다는 개념이 아니라 한중일 3국이 판을 만들어 에너지 수입을 유도하는 것이 낫다. 다만 중국이 현재 블랙홀처럼 자원을 흡수하는 것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 교수는 “지난 정부들을 보면 잘못된 줄 알면서도 최초 정책을 고집하다 화를 키운 측면이 있다. 정부의 대응은 유연하고 선제적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려대 황진택 교수는 산업계와 소비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황 교수는 “재생에너지를 늘리기 위해서는 토지, 자금, 주민수용성, 기술, 시장성, 생태계 영향 등 수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면서 “녹색성장의 실패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정부의 힘만으로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불가능하다. 시장과 소비자에게 끊임없이 묻고 수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