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대응방안 필요

[청주=환경일보] 신동렬 기자 = 청주시가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실시했던 폐플라스틱 민간위탁 계약이 8월 말 종료된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벌어진 재활용품 대란이 재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공동주택수거 운반 업체들은 비상이 걸린 상태다. 청주시에서 지원기간을 연장하지 않을 경우 업체들의 줄도산 우려가 커지고 있고 지역경제에 파급이 예상된다.

재활용 쓰레기 처리는 전적으로 청주시장의 책임이지만 현재 청주시는 수거업체와 공동주택간 일이라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사인간의 계약이지만 지자체에서 적극 개입하라고 권고한 상태다. 하지만 청주시는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중재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청주시는 재활용품 선별업체 3곳에 수거·운반비용(가구당 770원)을 지원하고 있다. 공동주택들이 재활용품 수거업체와 계약을 맺고, 해당업체가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시스템이다.

단독주택은 시에서 일괄적으로 수거해 처리한다. 하루 처리량은 공동주택 1일 약 50톤, 단독주택은 1일 47톤이다.

지난해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740원까지 가격이 형성됐던 폐플라스틱은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현재 300원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청주시는 공동주택 관련자들과 업체 간 단가를 조정해 재계약을 최대한 유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서로의 이익이 걸려 있어 원만한 협상이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청주시는 환가성 품목의 매각수입 뿐만 아니라 비환가성 품목의 처리비용까지 고려해 양 측의 손실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그 밖에 가연성 쓰레기는 강서소각로로 보내 소각하겠다는 입장인데 이 또한 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청주시는 미세먼지에 상당히 취약한 지역이다. 게다다 충북은 몇 해 동안 미세먼지 2위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갖고 있다. 이

런 상황에서 소각량을 늘린다면 미세먼지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시민들의 건강을 외면한 채, 발등에 떨어진 급한 불만 끈다고 해서 일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