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수는 20만여 종에 이른다. 매년 3000여종의 새로운 화학물질들이 개발·상품화되고 있어 앞으로도 화학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엔 4만 4000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고, 역시 매년 2000여종이 새로 시장에 진입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화학산업국가로 자부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관리 또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외 제품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전사적 차원의 규제 관리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15년 화평법과 화관법, ’17년 환통법과 전기생활용품안전법 등에 이어 ‘19년 시행예정인 살생물제법까지 제조부터 폐기에 이르는 제품 전과정에 이르는 환경규제강화는 기업의 부담을 크게 증가시켰다.

EU REACH, RoHS, 일본 화심법, 미국 TSCA 등 전 세계적으로 화학물질 및 제품 내 유해화학물질 사용 규제 또한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어 부담스럽다.

화학사고는 2013년을 기준으로 급격히 증가하면서 연평균 1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는데 주요 원인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작업자 부주의, 시설관리 미흡 등이 사고원인의 73%이상을 차지하면서 전문인력 부족에 따른 안전관리 미흡으로 인한 ‘인재(人災)’였다. 규제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고 이행할 전문 인력의 현장배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제도·정책 및 기술력은 우수하지만 제도를 실행하는 과정은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환경규제 리스크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의 양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지난 5년간 진행된 ‘환경규제 및 안전 전문인력 양성사업’은 기업 및 국가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안전한 사회를 보장하는데 적잖은 기여를 했다고 판단된다.

이 사업은 전 산업에 걸쳐 주요 국가별 환경규제를 제품 전과정 측면에서 대응해 기업 경영에서 환경규제 리스크를 관리하고, 화학물질 안전사고 예방을 전담할 수 있는 융복합 기반의 특성화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했다.

주요 내용은 융복합 학제 기반 석·박사 고급 인력 양성, 산업계 컨소시엄 구축 및 연계, 현장경험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 국가직무능력표준(NCS)화 및 자격증 취득 지원, 취업지원 등이다.

준비된 인재를 양성해 학생들이 졸업 후 곧바로 현장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차별화한 것이다. 또한, 졸업생 및 재학생 간 인적 네트워크 구성, 교류 프로그램을 추진해 경쟁력을 강화했다.

산업현장에서 안전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업주가 굳건한 의지를 갖고 안전정책을 수립·추진해야 하지만, 정부 역시 사업주의 의식을 바꾸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특히, 증가하는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하고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전문인력 수요를 맞춰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