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차별화 특색 미반영, 취업성공률 1% 미만, 운영‧관리 허점

[환경일보] 최인영 기자 = 우리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지 못하고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지방이탈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상반기 비수도권 청년 고용률’은 39.4%로 수도권보다 5.7% 낮았으며, 우리나라 전체 청년 고용률(42%)보다는 2.6%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현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남구을)이 지방고용노동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각 지방고용노동청에서 실시하는 청년대상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해당 지역만의 차별화 된 특색도 없고, 운영 프로그램 성과마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취업‧창업 등 원스톱 진로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주청 대학일자리센터의 지난 2017년도 성과를 보면 약 2만5636명의 학생들이 약 6만3109회에 달하는 취업상담을 받았지만 취업에 성공한 상담자는 1.6%에 그쳤으며, 그 중 프로그램 알선을 통해 취업한 학생은 상담자수의 0.05%(35명)에 불과했다.

광주청 대학일자리센터의 지난해 성과를 보면 프로그램 알선을 통해 취업한 상담자수는 0.05%에 불과했다. <자료제공=전현희 의원실>

대학생들에게 진로상담과 구직알선을 지원하는 ‘대학청년고용센터 운영현황’은 이보다 더 심각했다.

 

광주청에서는 지난 2017년 2575명의 학생들이 취업상담을 받았지만 정작 취업까지 이어진 학생 수는 10%에도 미치지 못했으며, 그 중 센터 알선취업 상담을 통해 취업한 학생은 0.73%에 그쳐 사실상 청년 취업에 센터의 역할은 매우 미미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청의 대학청년고용센터 운영현황에 따르면 센터 알선을 통해 취업에 성공한 학생수는 0.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전현희 의원실>

해당 사업은 더욱이 올해 시행 폐지에 이르러 그동안 청년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투입된 세금만 허비된 꼴이 돼버렸다.

 

광주청을 제외한 부산, 대구, 대전청의 경우 전 의원실의 자료제출 요구에 대해 “센터에서는 취업자 수를 파악하지 않고 있다”는 공통적인 답변을 해왔고, 대전청은 심지어 “취업자수를 파악할 의무가 없다”는 취지의 답변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현희 의원은 “지방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그 지역만의 문화와 일자리 특성을 잘 알고 있는 각 지방고용노동청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지방고용노동청은 이를 인지하고 최선의 노력을 다해주길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