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쇼 예방 목적 수수료 인상과 철도서비스 품질 향상 상관관계 없어

[환경일보] 최인영 기자 = 코레일이 지난 6년간 열차 취소 수수료 명목으로 972억 원을 거둬들인 사실이 드러났다.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상록을)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열차 취소수수료는 지난 2013년 134억원에서 2018년 176억원으로 3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레일은 열차표 예약 후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쇼(No-Show)’를 예방할 목적으로 지난 8월 ‘여객운송약관’을 개정해 취소 수수료를 인상한 바 있다.

이는 승차권 취소나 반환 시 발생하는 수수료 적용 시기를 출발 1시간 전에서 3시간 전으로 앞당기는 내용이다.

이와 관련해 코레일에서 제출한 자료를 보면 열차표 100장 중 평균 25장이 취소되고, 그 중 22장이 재판매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100장 중 평균 3장만 빈 좌석으로 운행하는 셈으로 김 의원실 분석 결과 코레일 노쇼 비율(3%)은 다른 업종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6년 동안 코레일이 열차 취소 수수료 명목으로 거둬들인 금액이 972억원에 달했다. <자료제공=김철민 의원실>

승객 보호를 명목으로 수수료를 인상한 코레일의 방침과 승객 노쇼와는 큰 상관관계가 없어 보이며, 더욱이 연평균 166억원에 달하는 취소수수료를 코레일은 운송수익에 포함해 관리하고 있어 철도 서비스 질 향상에 쓰이는지 여부조차 파악할 수 없다.

김철민 의원은 “코레일이 열차 취소수수료로 과도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며, “운송수익에서 수수료를 따로 분리해 철도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