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과정평가로 개선가능성 찾고 시민정신 살려 실천해야

뉴스와 SNS 등을 통해 동물의 배속에 가득한 쓰레기를 보여주며 제기된 플라스틱의 위협에 사람들은 두 가지로 반응한다. 동식물 피해를 넘어 인간에게 닥칠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그룹과 그렇게 호들갑 떨 필요가 없다는 그룹이다.

우리는 값싸고 가벼운 플라스틱 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에 놓여있다. 세계 플라스틱의 40%가 아시아에서 생산되며, 이중 24%는 중국이 담당하고 있다.

사용된 플라스틱의 59%가 자연에 축적되고 있는데 북태평양에는 대한민국의 15배 규모의 쓰레기 섬이 형성된 상태다. 그런데도 여전히 2050년엔 330억톤 정도가 생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바다로 유입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류를 따라 전 지구적으로 분포하며 오염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풍화에 의한 미세·초미세 플라스틱은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이미 20~30년 전 부터 부각됐는데 당시엔 별 관심이 없다가 먹이사슬을 통해 사람들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는 경고 이후 태도가 달라졌다.

39개 소금 생산지 조사 결과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소금의 90%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있는데 1㎏당 암염은 100개, 해염은 1만3000개에 달한다.

최근 개최된 ‘제26회 유럽 위장병학 주간(UEG Week)’에서는 전 세계에 걸친 피실험자들의 대변 샘플에서 최대 9가지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

동물은 미세플라스틱이 내장에서 발견되지만, 사람의 경우 혈류·림프계를 통해 간까지 도달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 섭취로 인한 인체영향 연구들은 계속 진행 중이다.

UN은 현재까지 미세플라스틱 연구결과를 볼 때 인체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단언할 순 없지만,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근거로는 충분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필요한 조치들을 당장 취해야 한다는 의미다.

미세플라스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사후처리에서 사전예방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더 안전한 세상을 위해 재생제품사용과 물질순환을 우선으로 하는 순환경제시스템 도입에 정부, 기업, 국민이 힘을 모아야 한다.

원료조달 및 디자인, 생산, 유통, 소비, 사용, 폐기 및 재활용 등 전과정에서 통합평가(Integrated Life Cycle Assessment)를 통해 개선가능성도 확인해야 한다. 이런 노력으로 생분해성, 재활용이 손쉬운 재질이나 사탕수수 플라스틱 등 완전 대체 재질로 전환할 수 있다.

제품포장 기준강화, 부처 간 협업, 관련연구지원 등 정부의 적절한 규제와 국제 공조도 필요하다. 기업의 자발적이고 혁신적인 노력을 촉구하는 캠페인과 장바구니나 텀블러를 이용하는 소비 활동 또한, 중요하다.

시민정신을 회복해 이미 당면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위험을 인정하고 내가 할 일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