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환경운동연합 등 참여, 총유기탄소‧영양염‧식물플랑크톤 조사

환경운동연합과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한강 수질 상태 파악을 위해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조사 중이다. <사진제공=한강민관공동 물환경모니터링단>

[환경일보] 최인영 기자 = 환경운동연합이 한국수자원공사를 비롯한 국내 수생태 분야 전문가와 함께 남한강과 북한강의 수질 상태 모니터링을 실시 중이다.

 

이들은 지난 2017년 10월 한강권역 민‧관 공동 물환경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올해 3월부터 매달 합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항목은 총유기탄소(TOC), 영양염(질소, 인) 등 12개 수질 요인과 남조류 등 식물플랑크톤 조성, 현존량 등 총 14개 항목이다.

 

이와 함께 홍수기 전후인 5월과 10월에는 하상 퇴적토를 채취해 중금속 등 23개 항목을 조사하는 퇴적물 모니터링을 병행한다.

 

모니터링단은 한강권역 환경운동연합 활동가 4인과 한국수자원공사 담당자 2인, 두 기관에서 추천한 수생태‧수질 전문가 6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장은 장동빈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창이, 간사는 김용운 한국수자원공사 한강물관리처센터장이 맡고 있다.

 

한강은 4대강 사업 추진 시절 첨예한 갈등의 공간으로 환경운동연합이 사업을 반대하며 남한강 이포보에서 장기 점거농성을 벌이는 극한 상황까지 빚어졌다.

 

갈등은 곧 정부 수질조사 발표에 대한 신뢰성 문제로 이어졌고, 정부와 환경단체 서로 간 조사‧분석방법마저 상이해 환경단체는 정부 주도 조사에 대해 녹조현상을 제대로 진단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졌다고 지적한 바 있다.

 

모니터링단은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현장답사와 논의를 거쳐 채수지점 및 채수방법을 결정했다.

 

남한강은 3개보(강천보, 여주보, 이포보)를 중심으로 7개 채수지점을, 북한강은 강원도 화천댐 하류부터 경기도 양수대교까지 11개 지점을 선정했다.

 

또한 북한강보다 녹조 발생 우려가 높은 남한강은 해당 구역의 좌‧중‧우 지점을 각각 분석한다.

 

모든 현장측정과 시료채취는 환경연합 활동가와 한국수자원공사 담당자, 전문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항목별 분석은 모니터링단에서 선정한 전문 분석기관과 한국수자원공사가 동시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신뢰도를 높인다.

 

이들은 1년여 기간 동안 모니터링 자료를 축적한 후 남한강과 북한강 수질 상태와 변화경향성에 대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모니터링단은 소통과 협력을 기반으로 시민사회와 학계 등의 다양한 요구를 수렴하는 민관 공동 물환경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 점이 의미를 지닌다.

 

4대강사업이 추진되던 지난 2010년 남한강 이포보 점거 농성에 참여한 장동빈 모니터링단 위원장은 “환경단체와 전문가는 물론 한국수자원 공사까지 함께 참여하는 이번 모니터링은 과학적 합리성과 사회적 합리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며, “민관이 서로 건강한 긴장관계를 통해 조사의 신뢰도를 높여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