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안정성 강화, 국민참여형 물문화‧물복지, 기후변화 대응 방안 등 쟁점

[국회도서관=환경일보] 최인영 기자 = 통합물관리를 위해 홍수‧가뭄 걱정 없는 수자원 관리와 국민참여형 물복지‧물문화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독고석 단국대학교 교수가 '국민이 바라는 통합물관리'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최인영 기자>

1월21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국회물포럼 창립기념 대토론회에서 '국민이 바라는 통합물관리'를 주제로 발표한 독고석 단국대학교 교수는 통합물관리 TF팀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발제했다.

 

독고 교수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먹는 물 ▷홍수, 가뭄 걱정 없는 수자원 ▷국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친수 하천, 호수 생태환경 관리 ▷물 갈등 해소, 국민참여형 물문화 및 물복지 ▷물부족 국가 해소 ▷기후변화 대응형 하수, 지하수, 대체수자원 등에 중점을 둔 효율적 물순환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2018년 6월 물관리기본법을 제정하고, 12월 통합물관리 비전포럼을 구성한데 이어 오는 2019년 6월까지 국가물관리위원회 및 유역 물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물관리위원회 사무국을 설치할 계획이며, 오는 2021년까지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수립을, 2022년 6월까지 유역물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끌고자 TF팀은 물관리 기본법 시행령, 정책기획보고서 성과 및 의미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다.

 

먼저 물관리 위원회의 역할과 독립성에 대해서는 사무국의 독립성을 확보해 국가물관리위원회는 독립적으로, 유역물관리 위원회는 환경부 하부조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또한 유역물관리 위원회 내부에 조정능력 및 견제장치를 갖추고, 중복된 계획은 통폐합한다.

 

정책 구체화 전략으로는 유역물관리 세부방안 및 물수요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국가와 지자체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간다.

 

이와 더불어 지난 2017년 7월 수립된 통합물관리 비전포럼에서 도출한 5대 비전목표, 15개 핵심전략, 45개 정책과제에 대해서 독고 교수는 국내 물관리에서 갖는 역사적 전환점으로 볼 수 있다며, 이는 그동안 일원화되지 않던 농업용수와 방재분야의 참여를 의미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정책별 현주소의 명확성 및 문제에 기반한 정책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독고 교수는 물포럼을 통해 궁극적으로 ▷물관리 일원화 및 물기본법 추진에 요구되는 예산집행과정 검토 ▷국민이 바라는 통합물관리를 위한 세부평가지표 및 만족도 관리 ▷중장기에 걸친 통합물관리의 핵심쟁점에 대한 지속적 관리 ▷통합물관리 수혜자인 국민과의 소통의 장 마련 등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