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기환경학회, ‘국외 미세먼지 영향과 대책 심포지엄’ 개최
과학·기술 기반 배출저감 정책과의 연계 필수, 국민 참여 이끌어야

한국대기환경학회는 1월2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외 미세먼지 영향과 대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진=이채빈 기자>

[대한상공회의소=환경일보] 이채빈 기자 =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한 강력한 해결 촉구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외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한국대기환경학회는 1월2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외 미세먼지 영향과 대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토론회는 선우영 한국대기환경학회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순태 아주대학교 교수, 추장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부원장의 주제발표로 이어졌다. 지정토론에는 박록진 서울대학교 교수, 지현영 환경재단 사무국장, 정진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 임영욱 연세대학교 교수, 김법정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이 참석했다.

미세먼지 농도, 2차 생성·성장에 따라 달라져

김순태 아주대학교 교수 <사진=이채빈 기자>

김순태 아주대학교 교수는 미세먼지 국외 영향 평가에 대한 발표에서 “미세먼지 농도는 직접 배출뿐 아니라 2차 미세먼지 생성과 성장이 큰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발표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는 배출량, 화학반응 등 다양한 요소로 이뤄져 이해하기 어렵다. 특히 우리나라는 기상, 장거리 이동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 때문에 2차 오염물질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수치 모델을 이용한 검토가 수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올바른 대기 현상에 대한 이해는 인과관계와 상관성의 구별에서 시작한다”며 “미세먼지 현상에 대한 이해가 문제해결의 출발점”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국외 미세먼지 대책···과학-정책 연계 강조

추장민 KEI 부원장 <사진=이채빈 기자>

추장민 KEI 부원장은 한중 간 이동 대기오염 대응 협력 평가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현재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한중 협력은 ▷공동성명, 협정, 업무협약(MOU) 등 협력체계 구축 ▷환경산업협력센터 설립, 환경기술 실증지원센터 설치 등 환경협력의 조직적 기반 확대 ▷황사 및 대기 분야에서 측정 데이터 공유 등 성과를 도출한 반면, 여러 가지 한계도 있었다.

한계점으로는 ▷공동성명·협정·MOU 협력체계에 근거한 정상·담당부처·관련기관 간 유기적인 이행체계가 미흡한 점 ▷중국의 협력파트너가 중국환경과학연구원 등 제한적인 연구기관에 집중돼 긴밀한 소통과 조정기능을 갖추지 못한 점 ▷협력사업 상당 부분이 연구사업에 국한돼 정책·기술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점을 꼽았다.

추 부원장은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국한돼서 안 된다”며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정책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와 관련해 추 부원장은 국외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대책 방안을 제시했다.

국외 미세먼지 대책 방안으로는 ▷미세먼지 감축 협정 체결·이행 ▷미세먼지 감시·평가 시스템 도입 ▷국제적인 차원에서 미세먼지 대응 대폭 강화 ▷한중 협력 강화(공동연구 확대 및 제도화, 감축 협력 사업 본격화) ▷환경경제 통합협력 ▷공공외교 강화 등이 언급됐다.

中 미세먼지 유입, 국내 영향 있다?

박록진 서울대학교 교수 <사진=이채빈 기자>

박록진 서울대학교 교수는 이어진 지정토론에서 최근 논란이 되는 중국발 미세먼지에 대해 “과학적 사실에 근거해 설명하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박 교수는 “중국이 미세먼지 배출량을 줄였다고 해서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영향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여러 가지 오염원 배출 감소 노력에도 국내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중국의 기여도는 기상패턴의 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기후변화와 연관이 있었다. 대기 안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기 중 오염물질을 정체시켜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상 현상의 변화는 온실기체의 증가에 따른 직접적인 동아시아 기후변화의 영향이거나, 지구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으면서 동아시아 대기 순환을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과학적 배출저감 정책 및 국민 참여 필요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동아시아 기상 현상의 변동성은 복잡한 요인으로 얽혀 있다. 박 교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기적으로 미세먼지 변화 추세를 과학적으로 면밀히 분석해 배출 저감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세먼지 예보능력을 개선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 국민이 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대책 방안으로는 과거 유럽의 ‘월경성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 물질에 관한 협약(CLRTAP)’ 등 이해 당사국 간 공조를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이 밖에 국민이 직접 경유차 줄이기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