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휴 설비 폐쇄를 통한 설비 관리비 최소화로 효율 증대

[코엑스=환경일보] 최인영 기자 = 환경부가 시행 중인 통합환경관리제도의 오염물질 매체 전이 방지를 위한 통합법과 매체법 간 융합방안에 대해 한국대기환경학회는 오염물질 사후 관리라는 단순 대응책에서 효과분석을 통한 사전 예방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주최하는 ‘통합법-매체법 융합을 위한 학회 세미나’가 1월30일 코엑스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유경선 광운대학교 교수, 전호근 GS ENR 환경안전팀 과장, 배연정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해 발제했다.

‘통합법-매체법 융합을 위한 학회 세미나’와 동시에 개최된 통합환경관리 박람회 개막식에서 조명래 환경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환경부>

유경선 교수는 업종별 물질수지 작성 고려사항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통합허가는 관리 패러다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정‧환경을 동시에 이해하는 인력양성 및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연정 실장은 최적가용기법 연계 배출농도 산정기법에 대해 오염물질 배출농도 범위 설정법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범위 설정은 데이터 및 이상자료 필터링을 거쳐 상한값과 하한값을 결정하며, 이를 중심으로 소각업종과 석유정제업종에 적용한 예를 배 실장은 소개했다.

전호근 과장은 통합허가 사업장 경험과 제언을 주제로 발표하며, 통합환경허가제도 시행 전과 후를 비교했다.

제도 도입 전에는 적발 및 단속에 중점을 두었다면 제도 시행 이후부터는 유휴 설비 폐쇄를 통한 설비 관리비 최소화를 꾀함은 물론 에너지 비용은 절감하고 유지보수 비용 및 효율은 증대함으로써 설비유지 비용 투입 최소화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업장은 기존 단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서 환경 모범사업장으로의 이미지 쇄신이 가능해졌다고 전 과장은 역설했다.

한편 발표 이후에는 홍지형 인하대학교 교수가 이끄는 가운데 박준홍 연세대학교 교수, 김효정 환경부 통합허가제도과 과장, 강필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연구관, 정득종 한국환경공단 환경전문심사센터 센터장이 함께 토론을 이어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