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및 저층 산소 부족 현상 감소 등 수질개선 가능성 확인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017년 6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4대강 16개 보 중 11개 보를 개방해 관측(모니터링)한 종합 분석한 결과 체류시간 감소, 유속 증가 등 물흐름이 크게 개선되고, 수변 생태서식공간이 넓어지는 등 강의 자연성 회복 가능성이 컸다고 밝혔다.

종합 분석한 11개 보는 금강 3개(세종, 공주, 백제), 영산강 2개(승촌, 죽산), 낙동강 5개(상주, 강정고령, 달성, 합천창녕, 창녕함안), 한강 1개(이포)다.

창녕함암보 오리류 및 왜가리 <사진제공=환경부>

환경부에 따르면 수계 전체 수문을 전면 개방했던 금강과 영산강은 자정계수가 각각 최대 8.0배, 9.8배 높아지는 등, 보 개방 시 하천의 자정능력이 크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정계수는 보를 개방했을 때 하천의 수심이 저하되고 유속이 상승함에 따라 커졌으며, 수계 전체를 전면 개방한 금강‧영산강의 자정계수가 일부 보만 개방했던 낙동강, 한강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부문별로 보면 수질의 경우, 세종보‧승촌보 등 최대 개방보를 중심으로 녹조 및 저층빈산소(산소 부족 현상) 발생이 감소하는 등 수질개선 가능성이 확인됐다.

세종보의 경우에는 개방기간(2018.1.24.~12.31.) 동안 조류농도가 40.6㎎/㎥에서 28.4㎎/㎥으로 예년 같은 기간 대비 30% 감소했다.

승촌보 하류 여울구간 왜가리(텃새) <사진제공=환경부>

승촌보는 여름철 녹조발생기간(2018.6~9월)의 유해남조류 출현이 1535cells/㎖에서 221cells/㎖로 예년 같은 기간 대비 15% 수준으로 감소했다.

또한 보 개방 시에는 모래톱 등 생태공간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과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개방 이후 개방 전월대비 백로류(텃새화된 물새류)의 개체수는 11마리에서 129마리로 한강 이포보에서 가장 크게 증가(11.7배)했다.

아울러 세종보, 창녕함안보 등에서는 유수성 어류가 증가하고 오염내성종이 감소하는 등 수생태계의 건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합천창녕보 하류에 형성된 모래톱 <사진제공=환경부>

다만 지난해 여름 극심한 가뭄과 고온으로 보 개방에 따른 녹조 저감 효과는 제한적이었다고 분석됐다.

지난해 여름철(6~8월) 강수량은 586.5㎜로 평년(674.4~751.9㎜) 대비 적었고, 평균 기온은 25.4℃로 평년(23.6℃) 보다 높았다.

아울러 전국 강수일은 27.1일로 평년 대비 10.2일 감소,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이 1973년 관측 이래 최고, 폭염일수(최고기온이 33℃ 이상)도 31.4일로 최장(평년 9.8일)을 기록했다.

흑두루미(멸종위기 Ⅱ급) 강정고령보 <사진제공=환경부>

한편 낙동강의 경우에는 충실한 실측자료 확보를 위해 개방 폭과 기간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수질 등 분야별 측정주기를 단축하고, 관측 지점‧항목을 확대해 보 개방 시 관측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고, 수계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관측(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4대강 16개 보에 대한 보 개방‧관측 종합 분석 보고서 전문은 보 관측(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에 이달 말 공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