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인접한 중국 동북3성·러시아에서 가축전염병 대거 발생

[환경일보] 치료제와 예방백신이 없는데다, 일단 발병하면 예외 없이 죽음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그리고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독감(AI) 과 같은 치명적인 가축질병들이 북한을 거쳐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남북협력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과 접해 있거나 가까운 랴오닝(遼寧)성, 지린(吉林)성, 헤이룽장(黑龍江)성 등 중국 내 3개성에서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해서 약 2600마리의 돼지가 죽었다. 러시아에서도 최근 3년간 ASF가 잇따라 발병해 돼지 56만7812마리가 죽거나 살처분됐다.

더욱이 중국 농업부가 지난해 10월16일 백두산 근처에 있는 중국 백산시의 야생 멧돼지 사체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해낸 만큼, ASF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중국, 러시아와 인접한 북한에 가축방역 경험을 전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북한과 인접한 중국, 러시아 등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AI 등이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지만 북한의 가축질병 정보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사진출처=카라>

구제역·AI가 기승을 부리면서 우리나라의 가축방역을 위한 납북 협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대 김재홍 수의대 교수는 유엔 식량농업기구(UN FAO)를 인용해서 “북한이 2011년과 2014년 구제역 확산으로 국제기구의 지원을 요청했으며, 2016년에도 구제역이 발병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설상가상으로 UN FAO는 북한을 2013년, 2014년, 2016년 AI 발병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구체적인 가축질병 발생 정보는 구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실제로 광견병(rabies, 공수병)은 북한을 통해 유입된 가축 전염병 확산 사례로 꼽히고 있다.

지난 1984년 이래 남한에서 발병하지 않았던 광견병이 1993년부터 북한 야생동물로부터 들어와 경기·강원 북부지역에서 재발하기 시작해 수도권 인근까지 번졌다.

김현권 의원은 “북한이 아니라 우리나라 야생 동물 건강과 축산업 보호를 위해서라도 북한에 대한 가축질병 발생 정보 파악과 방역‧검역 기술의 지원과 협력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김 의원은 “북한은 아직도 가축질병 발생 상황을 국제기구에 통보하지 않고 있어 ASF를 비롯해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독감(AI) 등 현지 가축전염병 발생 사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며 “북한과 가축방역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서 질병모니터링과 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ASF진단키트와 구제역 백신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