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서울대 연구팀, 3.1절 100주년 ‘기록 기억’ 최초 공개

[환경일보]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을 담은 3장의 사진 실물이 국내 전시회에서 최초로 공개된다.

위안부 피해 사실을 증언했던 고(故) 박영심 씨가 포로로 잡혀있을 당시 만삭이었던 모습이 담긴 사진 1점과 버마 미치나의 한국인 위안부 여러 명이 모여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 2점으로, 우리에게는 한국인 위안부가 찍힌 대표적인 사진들로 잘 알려졌다. 그동안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하고 있던 사진을 스캔한 것으로만 공개됐다.

위안부’ 박영심 포획 사진 1944.9.3. 촬영 <사진출처=서울시‧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이 사진들은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정진성 연구팀(이하 서울대 연구팀)이 지난 3년 간 추진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통해 확보한 것이다.

실물 사진 3점은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 미군이 만든 사진앨범의 일부다. 이 사진은 각기 1944년 8월14일·9월3일 촬영됐으며, 미군이 1944~1945년 경 앨범으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앨범 없이 낱장으로 흩어져 있던 사진을 2018년 9월 경 서울대 연구팀이 개인 소장자를 통해 확보했다.

그간 공개된 ‘위안부’ 사진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하고 있던 사진을 스캔한 것이지만, 실물 사진을 확보한 것은 처음이다. 가로 29㎝, 세로 21㎝로 인화된 상태이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이 3장의 사진 실물을 비롯해 그동안 발굴한 사료, 사진, 영상 등과 함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이야기로 엮어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이라는 제목으로 전시회를 개최한다.

버마 미치나 ‘위안부’ 사진, 1944. 8. 14 촬영 <사진출처=서울시‧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열리는 이번 전시는 서울도시건축센터(종로구 신문로 2가 6)에서 25일(월)부터 3월20일(수)까지 진행된다.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연구팀은 2016년부터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 사업을 통해 미국 등지에서 일본군 ‘위안부’ 자료를 발굴하는데 힘써왔다.

2017년 한국인 ‘위안부’ 영상을 최초로 공개했고, 그동안 증언으로만 있었던 남태평양 ‘트럭섬’ 위안부 26명의 존재사실을 자료를 통해 처음으로 공식 확인했다. 2018년에는 피해자들의 증언을 근거 자료와 접목한 두 권의 사례집을 출간했다.

이번 전시의 주제인 ‘기록 기억’은 위안부 문제의 진실을 보여준 피해자들의 용기 있는 증언을 ‘기록’해 계속해서 ‘기억’해 나가기 위한 의지를 담은 것. 그동안 조각조각 흩어져있었던 기록들을 모아 사진과 자료, 위안부를 주제로 제작한 작가들의 예술작품 등을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구성했다.

특히 ‘위안부’들의 피해 사실을 담은 본인들의 증언 뿐 아니라, 주변인들의 증언과 역사 자료를 교차해 ‘위안부’들의 삶을 종합적으로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버마 미치나 ‘위안부’ 사진, 1944. 8. 14 촬영 <사진출처=서울시‧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주요 전시물은 사진 실물 3장을 포함해, 일본인과 조선인들의 귀환에 대해 다룬 뉴욕타임스 신문 실물(1946.3.2.일자), 쿤밍보고서 및 축섬승선자 명부(복제본), 일본군 ‘위안부’ 최초 증언자 배봉기의 사진(김현옥 개인 소장) 등이다.

실물 사진 3점 이외에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서 수집한 중요 문서들을 그대로 재현해, 시민들이 아카이브에서 마치 자료를 발굴하고 추적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으며 발굴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도 역사적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당시 신문이나 전단과 같은 실물 자료들이 전시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