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장 80만원~700만원까지 다양, 특별목은 1억원 넘어

[환경일보] 장묘시설의 경우 사전에 준비하지 못하고 일을 당한 후에 며칠 사이에 결정해야 하는 등 이용정보가 충분하지 못하고, 계약 내용이 충실히 제공되지 않아 중도해지의 어려움 등 소비자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수도권에 소재한 장묘시설 56개 이용 가격 및 502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대 8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격 조사결과를 요약해 보면, 장묘시설 사용료는 시설유형과 위치 환경 등 조건에 따라 특히 사설시설에서 봉안당 개인용은 8배, 부부형은 7배 차이가 나고 있다. 또한 같은 시설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이용료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봉안당이나 수목장의 경우 고급형은 가격이 크게 올라간다. 봉안당은 최고 4000만원(불광사 양지수목장), 수목장 경우 특별목이라고 하여 1억원 이상이라고 밝히는 등(로뎀공원, 하늘계단 수목장 등) 조사됐다.

봉안당의 경우 고급형은 일반형에 비해 봉안함 안치공간이 약간 크거나 비슷하지만 주로 채광 좋은 곳에 추모공간을 넓게 확보해 고급형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수목장 경우에는 수종이나 모양 위치에 따라 차이가 컸다.

같은 봉안시설 내에서도 안치공간은 비슷하지만 채광이 잘 된다는 등의 이유로 10배까지 가격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시설 내 위치에 따라 10배 차이

봉안시설 개인형의 경우 최저가격(통상 가장 낮거나 가장 높은 단)은 85만원(평화의 쉼터, 이용료 85만원, 관리비는 시설 이용료에 포함됨)이었다.

반면 최고가격은 725만원(불광사 양지수목장, 이용료 700만원, 관리비 5년 선납 25만원)으로 8배 이상의 가격 차이를 보였다.

시설 중 가장 좋은 위치에 안치할 경우 최저 320만원(남양주 에덴공원)에서 4025만원(불광사 양지수목장)까지 있어 12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같은 시설이라고 해도 어느 위치에 모시느냐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었다. 24곳 중 차이가 2배 이내인 곳은 5곳, 2배~3배는 8곳, 5배 이상 차이나는 곳이 7곳이었다.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곳은 분당 추모공원 ‘휴’로 이용료 최저가격이 150만원, 최고가격은 1500만원으로 10배 차이가 나고 있다.

‘평화의 쉼터’는 위치에 관계없이 같은 이용료에 관리비를 받지 않고 있었다,

30년분 선납 요구하는 곳도

관리비의 경우 5년 이상의 선납을 요구하는데, 연간 관리비가 4만원에서 10만원까지였다. 4만원에서 5만원인 경우가 가장 많아 조사대상 봉안시설 24곳 중 12곳 이었다.

관리비는 대체로 5년치를 선납하도록 하고 있으나, 한국SGI와 동화경모공원은 30년분을 선납하도록 하고 있다.

각 지자체들도 장묘시설 운영에 나서고 있는데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립시설의 경우(서울 및 수도권 11곳) 지자체에 따라 최고 5배 가격 차이가 나고 있었다.

봉안당 관내 개인형의 경우, 성남의 하늘누리 추모원은 10만원(관리비 없음)이며, 화성시 추모공원과 양주 경신하늘뜰공원은 각 50만원(관리비 없음)이었다. 지자체 시설은 시설 내 가격 차이는 없었다(순서대로 안치).

관내와 관외 가격차이가 있는데 1.5배(오산 시립쉼터 공원)에서 10배(하늘누리추모원, 승화원 추모의 집) 차이를 보였다.

관외는 인천시립추모의 집은 52만5000원으로 가장 낮았고, 수원, 화성. 용인, 성남, 양주시에서 운영하는 시설은 각 100만원이었다. 관리비가 없는 곳은 4곳(화성, 성남, 이천,양주)이었다.

국가수목장림 1호 국립하늘숲추모원. 사립시설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따로 관리비를 납부하지 않는 등 장점이 많다. <사진제공=한국산림복지진흥원>

자연장 선호 추세 확산

조사 대상 중 자연장(잔디장)을 운영하는 곳은 30곳이었는데 이중 공립시설 13곳의 이용료는 관내(일반)의 경우 20만원에서 50만원이고 관외의 경우 50만원에서 100만원까지로 나타났다.

사립시설의 경우 60만원(충현동산/비신자)에서 350만원까지 잔디장 역시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장의 경우는 공동목이라고 해서, 여러 구(8위~30위)를 안치할 수 있는 곳에 한위를 묻는 경우 80만원~700만원까지 다양하며, 추모목의 굵기와 위치에 따라 차이가 컸다. 특수목은 9000만원, 1억원 등을 제시했다.

소비자들은 장묘시설 선택 시 친지 등이나 장례식장, 상조업자의 소개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설문조사 결과 81.4%) 장묘시설은 위치와 시설, 시설 내 조건, 지자체의 정책 등 다양한 요인으로 가격이 결정되고 있어 홈페이지, 중개업자만 믿고 선택하는 것은 위험하다.

특히 자연장의 경우 유형이 더욱 다양하고 같은 유형에서도 추모목의 수종, 크기 등이 다양하고, 이에 따라 안치 가능 구수도 각각 달라 반드시 방문 후 선택해야 한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e-하늘장사서비스’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현장 확인 전에는 조건과 가격을 비교하기 쉽지 않으므로 미리 방문해 현장을 보고 꼼꼼한 비교를 하여 합리적인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