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방재타운,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등 추진

[울산=환경일보] 오부묵 기자 = 울산시는 원자력발전소와 노후화된 국가산업단지의 지하배관에 대한 시민 불안 해소를 위해 원전과 국가산단 안전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이 사업은 ‘2019년 시정 10대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 국가산단 지하배관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위험물 옥외저장탱크 안전관리 및 화재대응시스템 구축 등에 총 1053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게 된다.

현재 울산은 인접지역인 고리와 월성을 포함해 가동원전이 모두 12기에 달한다. 또 건설 중인 신고리 4·5·6호기가 완공되면 모두 15기의 원전이 가동되는 세계최대의 원전 밀집지역이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을 2019~2028년까지 10년간에 걸쳐 조성해 세계최고 수준의 방사능 방재 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방재타운 내에는 2021년 6월 준공 예정인 ‘울주 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핵심기관으로 방재관련 기관, 교육훈련 연수시설, 방사선 홍보체험장, 방재연구소 등 방재지휘와 예찰, 훈련, 대피, 방재연구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관을 유치할 예정이다.

시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을 위해 현재 연구용역비 1억8500만원으로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며, 올해 7월 용역이 완료되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방재타운 총사업비는 683억원 정도로 예상되며, 방재타운의 위치 및 규모는 타당성 조사용역을 거쳐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국내 최초로 방재지휘와 예찰, 훈련, 대피 방재연구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이 조성되면 원전사고 예방 및 사고발생시 대응능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울산 산업단지 내 안전성 제고를 위해 국가산단 지하배관 컨트롤타워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를 건립한다.

울산·미포, 온산국가산업단지 내에 매설되어 있는 지하배관은 화학관, 가스관, 송유관 등 8종 시설물로 총연장 1660km에 달해 이송물질에 따라 적용되는 법과 관리주체가 달라 지하배관을 총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기관 설립이 필요했다.

울산 산업단지 내 안전성 제고를 위해 국가산단 지하배관 컨트롤타워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를 건립한다. 산단 내 매설돼 있는 지하배관은 화학관, 가스관, 송유관 등 8종 시설물로 총연장 1660km에 달한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월 11일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울산시,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관계기관 및 울산공장장협의회 회장 등으로 구성된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협의회를 열고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결과, 올해 안으로 국비 6억원으로 국가산단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는 지상 4층 규모로 국비 250억원과 시비 40억원, 총 290억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이다.

울산시는 지하배관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을 통해 현재 분산된 지하배관 관리체계가 하나로 통합되어 시설물 유지·관리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험물 옥외저장탱크 안전관리 및 화재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해 울산소방본부에서는 올해부터 3년에 걸쳐 국가산업단지 대용량 위험물 화재 대응을 위한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을 도입한다.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은 대형 위험물탱크 전면 화재 발생 시 이동용 화재진압 특수 장비를 활용 액체표면의 중심부에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대량의 폼을 도포해 질식소화 하는 방법이다.

울산 미포 및 온산 국가산업단지는 기반시설의 노후화, 대용량 위험물시설 집적화 등으로 대형화재‧폭발사고 시 초기에 집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면 국가적인 재난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따라 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에 걸쳐 총 80억원의 예산으로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 2벌(세트)을 도입해 국가산업단지의 위험물 화재대응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과 지하배관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등 안전인프라 구축을 통해 안전울산을 만드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