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 강우 없어 미세먼지 저감 효과 확인 못해

기상선박 주위 해상에 비를 포함한 구름 <사진제공=기상청<

[환경일보] 기상청(청장 김종석)과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7일(수) 합동브리핑을 열고 지난달(1월25일) 서해상에서 진행했던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간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은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인공강우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하는 역할을 맡았다.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구름씨 살포 후 대기 중 구름발달이 확인됐고, 일부 섬에서 강우가 감지됐지만, 지상 부근 대기가 건조해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다.

기상항공기에 장착된 관측장비로 구름내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큰 구름과 강우 입자의 수가 증가했고, 기상레이더를 통해서는 하층 구름이 발달하는 것이 탐지됐다.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지만 일부 섬(장산도) 지역에서는 감지(2회)됐다.

이는 구름씨 살포로 발달한 하층운에서 약하게 강우가 생성됐지만, 내륙은 지상 부근의 대기가 건조해 낙하하는 강우입자가 증발했기 때문이다.

레이더 연직단면도 분석을 통한 레이더 반사도 특성 분석(11:50 LST) <자료제공=기상청>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인공강우 영향예측지역인 영광, 나주 등 내륙지역에서 강우가 관측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

실험시작 후(10~13시) 목표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이는 바람(풍속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이고, 외부 공기 유입으로 14시부터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관측 지역에서는 초미세먼지 외부유입이 사전에 관측됐고, 실험 시작 후(10시~15시)에도 해상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계속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실험기간 미세먼지 농도의 감소는 풍속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고 그 이후 다시 외부공기 유입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했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내륙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해상 실험에서 인공강우 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증우량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만큼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여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