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시대 물 부족 한국에서 인공강우에 집중 투자해야

지난 1월25일 인공강우 실험은 많은 관심과 더불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기상청은 이런 실험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인공강우에 대해 지금까지 이렇게 많은 관심을 받은 적은 없었던 것 같다고 관계자들은 자조적 발언을 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중반부터 인공강우 관련 연구가 시작됐고, 2006년 대관령에 실험실이 갖춰졌다. 2008년부터는 민간 항공기를 임대해 평창에서 실험을 계속하다가 2017년 말 기상항공기를 도입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난 10여년간 꾸준히 실험을 해왔지만, 선진국 대비 기술과 예산 등 여러 조건에서 어려움이 있었다고 토로한다.

사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인공강우 연구는 하다 말다를 반복하며 기껏해야 3년을 넘기지 못하는 보이기식 연구가 전부였다.

전문가들은 몸을 사리고 비전문가들은 목소리 높여 무책임한 때리기로 일관하는 현실에서 인공강우 기술이 발전하고 효과를 거두기란 참으로 어려워 보인다. 상식수준에서 한 발도 양보하지 않으면서 이해시켜보라는 식으로는 답을 찾을 수 없다.

세계최고수준 전문가들과 대화해보면 인공강우를 시도하는 접근 자체가 우리와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자연생태계의 물 순환을 이해하고 인간에 의해 변화된 부분을 기후조절 기술을 통해 메우려는 노력이 바로 인공강우기술이다.

물과 구름, 대기를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실험해야 하기 때문에 연구실뿐만 아니라 반드시 현장에서의 실험이 필요하며, 적어도 5~10년 기간이 필요하다. 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투자와 협력 없이 인공강우는 성공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인공구름의 씨앗으로 사용되는 요오드화은(AgI)에 대해 사람들은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세계최고 전문가들은 단호히 말한다.

지난 1950년대부터 60년 넘게 미국에서 강하수 용도로 실험하고 사용해왔지만, 아무 문제가 없었고 전 세계적으로 단 한 번도 부정적인 결과가 없었다는 것이다.

다른 쪽의 구름을 끌고 와서 그 지역이 가뭄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미국에서의 실험결과 구름 이동은 극소량으로 연관성이 거의 없다는 해석이다. 지난 60여년 간의 인공강우 경험과 기술의 축적은 미국이 자랑하는 큰 자산이라고 그들은 자신한다.

인공강우의 성패 여부는 장기간의 투자와 기술 및 경험축적, 국민의 이해와 지지에 달려있다. 기후변화시대 미세먼지로 고통 받고 있는 물 부족국가 대한민국에서 지금이 인공강우 기술을 키울 기회다.

인공강우는 정치권의 주문이나 국민들의 조바심 때문에 휘둘려서는 안 될 중요한 기술이다. 실무자들은 현장의 목소리를 내고 실질적인 도전과제들을 밝히고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인공강우 기술개발에 지금 바로 전폭적인 투자를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