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및 환경계획 통합적관리, 모든 영역에서 할 일 해야

미세먼지로 고통 받던 지난 수개월이 지나고 어느새 만개한 벚꽃을 즐기려는 수많은 상춘객들이 주말 이 곳 저 곳에서 붐볐다. 이런 상태가 계속되길 바라지만 미세먼지는 앞으로도 시도 때도 없이 다시 다가올 것으로 예상된다.

거의 모든 정부 부처들이 미세먼지 대책을 찾는다고 뛰었다지만, 체감할 수 있는 뾰족한 대안은 보이질 않는다. 여전히 실적위주, 보여주기, 관 주도로 일관하는 듯하다.

정확한 데이터가 있어야 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말도 일리는 있지만, 당장 힘겨운 서민들에게는 대책이 시급하다. 현황을 정확히 알리고 지금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토록 중심을 잡아야 하는데 조직만 계속 늘리고 있는 모양새다.

미세먼지와 관련해 모두가 피해자이며, 가해자라는 표현에 끄덕이지만, 실제 내가 가해자라고 인정하고 뭔가를 바꾸려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다들 남이 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가 별 생각 없이 하고 있는 활동들이 미세먼지를 조금씩 만들어 내고 그것이 모여 거대한 괴물이 된다고는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내 집, 내 건물 수리한다고 돌과 타일을 기계로 갈아내는 작업은 흔한 일이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먼지, 미세먼지를 흡진기로 담아 제대로 처리하는 경우는 거의 볼 수 없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단지 작업장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화단 높이를 제대로 맞추지 않아 도로의 흙먼지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강우시나 관수시 흙이 쓸려 내려오지 않도록 화단을 높여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다보니 수천 톤의 흙이 하수관 슬러지로 유입되고 먼지로 날리는 일이 벌어진다.

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부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 모든 주체들이 미세먼지발생원을 찾고 저감방안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

최근에는 도시와 도시 외 지역의 비열차를 활용한 도시 바람길 조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바람길은 도시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맑고 차가운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공기순환을 촉진하고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과 뜨거운 열기를 도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시간당 1억9000㎥의 신선한 공기를 도심부로 유입시키는독일 슈투트가르트 등 우수 사례와 국내 사례지에서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미세먼지가 심각한 서울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 적용되길 기대한다.

도시와 도시 인근에 최대한 나무를 심고, 투수성포장면적을 늘려 물을 확보하면서 바람길을 만들고, 미세먼지를 줄이고, 폭염에 대처해야 한다.

국토 및 환경 계획의 통합적관리가 제대로 되도록 전과정(life cycle)을 사고하고 법과 제도 역시 꼼꼼히 정비해야 한다.

미세먼지는 끝난 것이 아니라 잠시 멈췄을 뿐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