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AI···성과 내려면 디지털 기반 중요, 인문사회 포함한 융합교육으로 AI 인재 확보

김진형 인공지능연구원(AIRI)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이채빈 기자>

[한국과학기술회관=환경일보] 이채빈 기자 = 기술 민주주의 시대가 찾아왔다. 앞으로 누구나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연구할 수 있다.

김진형 인공지능연구원(AIRI)장은 최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19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봄(Spring)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 원장은 “AI는 개방과 공유라는 특별한 생태계를 갖고 있다”며 “대부분의 인공지능 기술은 모두 공개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결과는 100% 재현할 수 있고, 빛의 속도로 퍼진다”며 “남이 무엇을 했는지 알아내는 게 연구 경쟁력”이라고 덧붙였다.

기술의 민주화와 사회적 자산화로 인해 작은 기업도 최고의 기술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대비 한국의 산업별 SW 활용도 <자료제공=AIRI>

소프트웨어(SW)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김 원장은 “이제 SW가 AI”라며 “AI 투자가 성과를 내려면 디지털 기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터넷,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 디지털 기반이 없으면 AI 구현은 쉽지 않고, 구현하더라도 확산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SW산업 환경은 열악하다. 시장 규모는 세계 17위이며 산업별 활용도 미국보다 현저히 낮다.

김 원장은 이러한 SW경쟁력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해선 AI 투자에 대한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세계 시장에서 우리의 장단점과 능력을 분석해 과학과 산업기술, 응용기술, 제품 및 서비스 구현 등 수많은 분야 중 어디에 집중할 것인가부터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 상위 10% AI 연구자 보유 비교 <자료제공=AIRI>

인재 양성도 시급하다. 우리나라 AI 인력은 전 세계 1.3%에 불과하며 AI 기술을 뒷받침하는 컴퓨터학과 수준도 카이스트(KAIST)가 38위, 서울대가 45위로 세계 대학과 비교해 매우 낮다.

김 원장은 “AI 전쟁은 인재 전쟁이나 다름없다”며 컴퓨팅을 바탕으로 모든 학생에게 AI를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문사회를 포함하는 융합교육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는 1조원을 투입해 AI 대학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158년 개교 사상 최대 프로젝트로 알려졌으며, 역사·철학 등 인문계 학생들까지 융합해 교육한다.

한편 2019 SPRi Spring 컨퍼런스는 지난 5년간 한국 SW산업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