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부문 미세먼지·축산분뇨 관리, 농업인 건강관리 시급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환경 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농업분야에서의 미세먼지 발생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 헐씬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PM10은 발생원에 따라 달라지는 반면, PM2.5 는 2차 생성 시 전구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2017년 미세먼지 종합대책에 따르면 전체 PM2.5 가운데 2차 생성을 통해 배출된 경우가 75%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측정된 PM2.5 중 암모니아와 연관된 질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의 비중은 25.9%~35.2%에 달하는데 전국 6개 주요 지역으로 확대하면 전체의 58%를 차지한다.

농경지가 줄면서 비료 사용이 줄고, 농경지에서 직접 배출되는 암모니아 역시 2001년 3만5125톤에서 2015년 1만9901톤으로 감소했다.

반면 축산분뇨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는 계속 증가해 2001년 13만7814톤에서 2015년 21만1362톤으로 늘었다. 미세먼지를 줄이려면 농업부문에서도 적극적인 암모니아 관리가 필요하다.

농업 내적인 이유에서도 암모니아 관리는 필요하다. 미세먼지로 인한 일조량 혹은 광합성 감소로 인해 작물의 생산성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는 가축의 호흡기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농업인 건강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농업인 가운데 야외에서 주로 진행되는 직접노동 비중은 93%에 달하며, 노동 중 발생하는 고농도 미세먼지에 직접 노출된다.

특히 농업분야 미세먼지는 다양한 유기물, 무기물, 세균 등을 포함하고 있어 도시의 경우보다 더 해롭다. 농촌고령화에 따라 농업인들은 미세먼지에 더 취약한 노인 계층이 대부분이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미세먼지 대책은 매우 부실하다. 선진국들은 농업을 암모니아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를 직접 발생시키는 오염원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 결과 OECD 회원국 대부분에서 암모니아 배출량이 줄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농촌분야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부처는 미세먼지 노출에 취약한 농업인과 농축산물 피해를 예방하고 농업잔재물 전문 수거처리반 및 폐기물 분리배출 공익활동, 암모니아 배출원 조사연구 등을 공동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늦었지만 환영할 일이다.

전문가들은 농림부에서 도입 예정인 공익형 직불제와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을 통해 인센티브를 제공해 적정 양분 투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역단위 양분관리제를 적극 추진해 적정한 양의 시비와 가축사육을 유도하는 활동 또한, 중요하다. 최적의 정책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농업부문 암모니아 발생과 축산분뇨 관리 등 관련 연구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지난 수십년 간 많은 예산을 들이고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축산분뇨를 제대로 관리할 실효성있는 대안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