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성공하려면 정보공개, 기술과 제도 정착 필수

지난 5월 23일 강원도 강릉시 소재 산업단지 내 한 벤처공장에서 수소탱크가 폭발했다. 이 사고로 2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쳐 병원으로 후송됐다. 해당 건물은 철제 골조만 남고 거의 전파됐고, 인근 입주 업체들도 폭발 잔해물로 인해 크고 작은 피해를 입었다.

사고가 난 업체는 태양광과 수소를 이용해 연료전지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로 수소 생산 관련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었다. 해당 공장엔 총1200㎥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소탱크 3기가 있었는데 이 중 하나가 폭발해 형체도 없이 사라진 것이다.

이번 사고는 우리 사회에 매우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대통령이 직접 홍보에 나설 정도로 강조한 수소경제, 수소차가 과연 안전한가 하는 것이다. 폭발의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에 있지만, 신뢰를 잃으면 시장을 확대하기가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수소경제를 부각시킬 때부터 업체와 정부 측에서는 안전성을 누차 강조했다. 수소차 충전소의 경우 수소탱크나 수소전기차의 연료 탱크는 누출을 예방토록 수소의 주입 및 배출 연결부위에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하기 때문에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그런데 이번에 수소탱크가 폭발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탱크의 종류가 다르며, 기기의 오작동이나 직원의 부주의가 원인일 수 있다고 추정하지만, 어쨌든 폭발은 폭발이다. 수소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제기되는 것도 당연하다.

수소차 업계 관계자는 수소차에 부착되는 탱크는 전혀 다른 구조임을 강조한다. 이 탱크는 불이 붙지 않는 탄소섬유 소재로 수심 7000m 같은 고압에서도 거뜬히 견뎌내고 큰 충격을 받아도 폭발하는 대신 탱크가 찢어지면서 수소가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가 수소충전소나 수소차의 안전 문제와 연관성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나 안전전문가들은 100% 안전한 차는 있을 수 없다고 선을 긋는다.

차량이 장기간 악조건에 노출되다보면 전혀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답답한 것은 자칫 안전 불감증으로 보일 정도로 정부가 무조건 안전하다고 강조하는 부분이다.

수소경제는 분명 국민 모두가 함께 협력해 추진해야 할 중차대한 미래지향적 과제다. 그래서 더욱 안전성 확보는 필수이며, 그저 믿고 가자고 밀어붙일 일이 절대 아니다. 만에 하나 발생 가능한 경우를 예측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제도를 정착시키는 것이 우선이다.

우리 사회는 지난 수십년 간 국익을 위한다는 명목 하에 대형사업들을 급하게 추진하면서 갈등과 대립, 불신의 상처들을 갖고 있다. 진정 국민의 협조와 이해를 구하려한다면 의혹이 제기되기 전에 투명하게 보여줘야 한다.

입으로 말고 실체로 말이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