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대를 생각하는 탄소배출 저감 노력 행동으로 실천해야

대한민국 역사상 청소년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목소리를 높이던 때가 몇 번 있었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민주주의를 살리기 위해 그들은 총칼도 두려워 않고 할 말을 다했다.

이보다 더 큰일은 없을 듯 했는데 그에 못지않은 큰 일이 일어나고 있고 그들은 다시 거리로 나왔다. 기후변화로부터 미래를 지켜야 한다며.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폭우, 가뭄 등으로 세계 곳곳에서 신음 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최근 수백 개의 토네이도가 발생해 엄청난 피해를 안겼다.

대한민국은 기후변화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배출 대국이다. 세계 7~8위 자리를 변함없이 고수하고 있다.

한 때 녹색성장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녹색경제로 전환할 기회가 있었지만, 정권이 바뀌면서 정치적 이해관계와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추진 동력을 잃어 버렸다.

탄소시장을 통해 배출을 억제해보려고 하지만 이 역시 규제의 타이밍과 강도가 치밀하게 지속돼야 가능한 일이다.

수년전부터 세계 환경단체들은 한국을 ‘기후악당’이라고 비판하며 행동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론의 여지가 없다. 지구에 미치는 영향 보다 직접적으로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덜 하지 않은데도 별다른 행동변화가 없다.

지난 5월24일 서울 광화문의 온도는 33℃, 체감온도는 36℃에 달하면서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령됐다.

이 뜨거운 날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엔 '524 청소년 기후행동' 집회를 위해 청소년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지난 3월15일 기후행동에 이어 두 번째다. 무엇이 이들을 불러냈을까.

청소년들은 ‘4대 기후악당국가’라는 악명에서 벗어나야 하며 정부의 노력을 촉구했다. 한국의 석탄화력 발전 비중이 41.9%로 상승했고, 온실가스배출 증가율도 OECD 국가 중 1위라고 강조했다.

청소년들은 우리 정부의 기후변화대응 강화를 외쳤고, 기후변화와 환경에 대한 교육이 확대돼야 한다고도 했다. 이들이 우려하는 것은 국민들의 무관심이다. 내 탓 아닌 남 탓이고, 당장의 일이 아니라며 눈길과 발길을 돌리는 기성세대들의 잘못된 인식이 이들은 더 두렵다.

수십 년이 지나도록 변함없는 입시위주의 학과목 편성과 교육시스템은 지구시민으로, 한국의 구성원으로서 제대로 배울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2013년 환경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법률과 교육 현장은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래세대의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바른 정보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일은 당연하고 중요하다.

이들의 주장을 기성세대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쓸데없는 시간낭비하고 있다고 치부해버릴 수 있을까.

이날 청소년들은 교육청까지 행진해 체계적 환경교육도입, 청소년 사회참여 장려를 요구했다. 9월에 다시 모인다는 이들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 미래는 이들이 살 터전이니까.

‘환경의 날’은 뭐하자고 만든 날인가 묻고 싶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