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없는 새벽에만 작업 가능, 물리적 시간 부족으로 작업 난항

서울 지하철은 6%만 5G 기지국이 설치됐고, 지방은 한곳도 설치되지 않았다. 5G요금을 내면서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일보] 정부 주도 5G 상용화가 100일을 맞았지만, 5G 사용이 가능한 구간은 서울지하철의 6%에 불과하며, 지방 지하철은 5G 기지국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윤상직 의원(자유한국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SKT가 3호선에 22개국, KT가 2호선에 6개국을 설치했으며, LG유플러스가 4호선에 20개국, 7호선에 4개국으로 서울지하철에서 5G 사용이 가능한 지하구간은 단 6%에 불과했다.

반면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인천, 경기권 지하철은 모든 지하구간에 5G기지국이 단 1곳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지난 4월 과기부는 ‘5G 민관합동TF’를 통해 전국 지하철에서도 5G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노선별 기지국 구축 작업을 약속한 바 있지만, 지하철 5G 기지국 확충은 여전히 부진한 실정이다.

정부는 지하철 5G 기지국 구축을 위해 서울교통공사 등 관련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약속했고, 이통3사는 기지국 확충을 위해 사업자 간 관련 설비 공동 구축작업에 착수했다.

기지국 구축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유동인구가 없는 새벽시간에 지하철 단전 후 기지국 설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에 실질적으로 공사할 수 있는 시간은 2시간30분에 불과해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기지국 작업반에 전문성을 갖춘 본사 직원이 직접 감독관으로 입회해야하기 때문에 무리한 작업일정은 소화하기 어렵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이에 윤 의원은 “정부 주도 5G 상용화가 100일을 맞았지만, 지하철·대중장소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조차 아직 국민들이 요금을 제값 내고도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곳들이 너무 많다”며 “정부가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에 얽매여 무리하게 5G 상용화를 추진하다보니 지금까지도 우리 국민과 이통3사를 비롯한 기업들은 고스란히 피해를 입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