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창궐로 16%만 담수, 사실상 무용지물… 혈세낭비, 환경파괴 논란만

[환경일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상돈 의원과 대한하천학회, 환경단체 및 종교환경회의 등이 내성천과 낙동강을 살리기 위한 영주댐 해체 로드맵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23일 국회 정론관에서 이상돈 의원과 시민사회와 공동으로 진행하 영주댐 처리 기자회견에서 “영주댐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무리하게 건설됐으며, 사업 자체의 목적도 불분명할뿐더러 건설 이후 내성천의 빼어난 경관과 생태계를 위협하는 등 그 부작용이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영주댐과 관련된 최근의 시험담수 논란은 영주댐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결정해야 할 시기에 정부가 여전히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하지 못한 채 허둥대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2017년 영주댐 시험 담수 당시의 모습. 녹조가 창궐해 도저히 쓸 수 없는 물이다. <사진제공=이상돈의원실>

2016년 준공된 영주댐은 전체 저수량 중 16%만 물을 채웠으나 녹조가 발생하고 악취가 끊이지 않았고, 결국 김은경 전 환경부장관 시절 댐 하류 낙동강 수질을 오히려 악화시킨다는 이유로 댐 시험담수를 중단시킨 바 있다.

그런데 한국수자원공사가 갑작스레 담수와 댐 가동을 거론하면서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최근 들어 수자원공사는 시험담수 시도와 병행해 영주댐 수질 개선 종합대책으로 1000억원을 다시 투입할 것을 환경부에 요구하고 있다.

이 의원은 “사실상 영주댐을 가동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인데, 환경부 장관이 취한 조치를 산하기관이 번복하려 한다는 점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정부는 현재 금강·영산강 보 해체를 포함해 4대강 사업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지만 강 주변 이해당사자들의 문제 제기 등으로 원만한 해결이 어려운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존재 이유 자체가 의심스러운 영주댐의 안전성을 새삼 검증하겠다는 것인지, 수자원공사가 시도하는 담수시험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댐 본체 상류 13㎞ 지점에 위치한 유사조절지. 부속댐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환경일보DB>

백두대간에서 발원한 물은 내성천 모래층을 통과해 낙동강에 흘러든다. 하도에 쌓인 모래는 1㎥당 0.5t의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내성천은 그 어느 댐과 비교해도 탁월한 저장기능을 자랑한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들은 “댐 공사 이후 강이 급격히 훼손됐기 때문에, 지금은 멸종위기생물을 되살리는 등 내성천 생태계 회복에 집중하는 것이 환경부 본연의 역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흰수마자 등 야생생물 서식환경에 대해 환경부의 전수조사가 시급하다며 정밀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상돈 의원과 시민환경단체들은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책임지고 있는 환경부는 강의 자연성 회복이 그 무엇보다 중요함을 재확인하고, 내성천과 낙동강의 생태보전을 위해 모든 노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