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협의체 운영, 공동(空洞)조사 서울시가 전담

[환경일보] 서울의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과 지하철 같은 도시기능에 필수적인 수많은 지하시설물이 묻혀있다. 그 규모만 해도 총연장 5만2697㎞로 지구를 1.3바퀴 돌 수 있다.

문제는 지하시설물의 관리주체가 제각각이라는 점. 각 관리주체가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안전관리 역시 여러 기관, 기업에서 제각각 이뤄지다보니 제대로 된 현황 파악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서울 전역 지하시설물의 절반이 넘는 2만7739㎞(53%)는 가스, 전기, 통신, 난방 등 서울시가 아닌 다른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시설물이다.

서울시가 이런 지하시설물의 안전관리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한다.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지하시설물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통신‧가스‧전기 등 지하시설물을 관리하는 각 기관은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참여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작년 하반기부터 지하시설물 관리기관들과 20차례 협의를 거쳐 관련 내용을 도출했다.

각 관리주체가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안전관리 역시 여러 기관, 기업에서 제각각 이뤄지다보니 제대로 된 현황 파악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지난해 아현동 통신구 화재와 목동 열수송관 파열, 최근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문제 같이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문제의 재발을 막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같은 대규모 지하개발로 인한 사고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지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이를 위해 박원순 시장은 25일(목)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는 박원순 시장과 ▷KT(황창규 대표이사) ▷한국전력공사(김종갑 사장) ▷한국가스공사(채희봉 사장) ▷한국수자원공사(곽수동 부사장) ▷한국지역난방공사(이경실 부사장) 등 대표 5개기관이 참여했다.

핵심적으로 서울시와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이 참여하는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를 발족하고,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으로 각 기관별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할 공동(空同)조사를 서울시가 전담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기관간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복합재난에 대한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한다.

기존 도심에 전력, 통신, 상수도를 공동 수용하는 ‘소형 공동구’ 설치방안을 검토한다. 이를 위한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도 ‘20년까지 수립한다.

더 나아가 GTX 등 대규모 지하개발이 급증하는 가운데 ‘지하개발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착수한다.

지하시설물 노후화와 관련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시스템을 연내 개발하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 관리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이와 관련해 은평 공동구에 24시간 순찰이 가능한 지능형 궤도주행 로봇을 연말까지 설치 완료해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이와 같이 이날 지하시설물의 통합적‧선제적 안전관리를 골자로 하는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을 처음으로 발표, 2023년까지 총 2조7087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안전 통합체계 구축 ▷선제적‧체계적 안전관리 ▷스마트기술 예방시스템 개발 등 3대 분야에 있어서 10개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