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이슈포럼,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선별 등 논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 이상으로 회수·선별 문제가 중요"

제4회 플라스틱 포럼 주요 참석자들 <사진=김봉운 기자>

[한국과총회관=환경일보] 김봉운 기자 =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심각한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기존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입하던 국가들이 수입 금지 조치를 취하면서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에 대란이 전망된다.

이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김명자, 이하 과총)는 9월3일 한국과학기술회관 지하1층 대회의장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회수와 선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제4회 플라스틱 이슈포럼을 개최했다.

전 지구적 문제로 부각되는 플라스틱

2017년까지 세계 최대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국이었던 중국은 지난해부터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후 플라스틱 폐기물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비교적 규제가 느슨한 아세안 국가로 흘러 들어갔으나 최근 해당 국가들 역시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 금지를 법제화했거나 관련 법규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이 잇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수입을 거부함에 따라, 미국과 독일을 비롯해 상당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하던 전 세계 국가들이 플라스틱 처리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에서 약 83억 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됐고 그 중 약 63억톤이 쓰레기로 폐기됐으며 재활용 비율은 9%에 불과했다.

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율이 이토록 낮은 가장 큰 원인은 분리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오물 등이 섞여 있어 회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플라스틱은 물성이 다양한 만큼 선별 작업과 재활용 공정에도 막대한 인프라가 요구된다.

플라스틱 문제, 산업체가 앞장서야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의 회수와 선별 기술을 중심으로 플라스틱 재활용과 처리 관련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활발하게 의견을 개진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이찬희 서울대 그린에코공학연구소 교수(포럼 공동운영위원장)는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회수 현황 및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서울대 이찬희 교수 <사진=김봉운 기자>

이 교수는 “생활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보다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산업 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부 차원의 규제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또, 이 교수는 분리와 배출 문제를 지적하며 “종량제 봉투 속 20%는 분리를 하지 않은 플라스틱”이라며, “사람들의 경각심을 심어줄 만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산업과 생활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의 규제를 위해 현실적인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표는 오길종 국립환경과학원 전 자원순환연구부장이 ‘일본의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 및 선별’, 권성안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선임연구위원이 ‘폐비닐·폐플라스틱 회수·선별 기술 개발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을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

좌장을 맡은 경기대 이승회 교수가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사진=김봉운 기자>

이어진 패널토론에는 이승희 경기대학교 교수(포럼 공동운영위원장)를 좌장으로 김고운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부연구위원, 김미화 자원순환연대 이사장, 유창범 푸를청 대표,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 이용식 SBS 사회부장, 이정임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정희 포스벨글로벌 연구소장, 한준석 아주인더스트리얼 대표가 패널로 참석해 의견을 개진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김명자 회장 <사진=김봉운 기자>

끝으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김명자 회장은 이날 자리에서 “플라스틱이 지구 생태계에 큰 위협을 가하며 글로벌 현안으로 떠올랐다”며, “현대사회에서 플라스틱을 완전히 퇴출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기에 사용량을 줄이는 것 이상으로 회수·선별 문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논의를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방안에 대한 과학기술·정책적으로 제시된 해법이 실행될 수 있게 민·관·산·학이 함께 노력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