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청정대기 원탁회의’ 열려···31개 시·군 시민단체, 공무원 등 참석

'경기도민 청정대기 원탁회의'가 19일 수원컨벤션센터서 열렸다. <사진=최용구 기자>

[수원컨벤션센터=환경일보] 최용구 기자 = 시민들과 공무원들이 미세먼지 문제 대응에 관한 서로의 인식을 공유하면서 합리적인 대응 노선을 위한 방향을 잡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경기도 지속가능협의회(지속협) 주관으로 지난 19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경기도민 청정대기 원탁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경기도 31개 시·군 지속협 회원 및 시민단체, 경기도청 미세먼지대책과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단편적 해석’은 금물

이날 자리는 ‘경기도의 대응전략’에 관한 지방정부 측의 발표를 시작으로 참석자들 간의 미세먼지 대응에 있어 ▷개인 및 집단 ▷지방정부 등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도출된 바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미세먼지대책과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리적으로 편서풍이 작용해 중국의 영향권에 있고 전국 최고 수준의 에너지사용량으로 배출원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는 지난 4월부터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에 있어 재난 대응단계인 ‘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해 대응 중에 있다.

경기도 지속협 이상명 사무처장은 “조금은 정돈된 느낌이다”라며 지난 2년간의 대응에 있어 ‘일희일비’했던 어수선한 상황 대비 어디로 가야 하는지는 파악된 단계로 봤다.

‘경기도의 대응전략’을 설명한 도 미세먼지과 관계자는 너무 과한 대응으로 인해 오히려 역효과가 생길 수 있는 점을 언급했다.

그는 “미세먼지가 두려워 실내 활동만 고집하면 내부 활동 증가로 인한 분진 및 이산화탄소등 다른 오염원이 유발될 수 있다”며 과민 대응을 경계했다.

단편적인 해석에 대한 우려의 표현인 것이다.

이런 미세먼지에 관한 과잉된 반응과 인식들이 있기에 민·관이 함께한 이번과 같은 자리를 통해 돌아보고 바로잡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속협 관계자는 “내가 단편적인 생각에 치우쳐 있는 점도 이런 공론의 장을 통해 깨달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러한 자리를 공식적으로 더욱 품격 있게 만들어 경기도의 31개 시·군에서 주기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가해자 의식’ 필요

이날 자리의 참석자들은 민·관 간 ‘공유의 장’이 필요하다는 데 대부분 공감했다. 그 밖에도 경기도 지속협에 따르면 도 31개 시·군의 시민들은 대체로 미세먼지 저감 실천방안으로의 개인적인 ‘과제’가 아직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지속협 이상명 사무처장은 “시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아직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구체적인 실천 의지가 약하다”며 “내가 뭘 어떻게 해야 할지도 공유의 장을 통해 구체화돼 개인에게 부여될 수 있다”고 민·관 합동 회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세먼지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 우리는 ‘피해자’면서 동시에 ‘가해자’라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는 데도 참석자들은 공감을 표했다.

도 미세먼지대책과 관계자는 피해자라는 일방적인 인식이 대응에 있어 ‘실천’은 약하고 ‘탓’이 강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경기도 양평군의 한 시민은 “분리수거, 자전거 이용, 세제 줄이기, 플라스틱 감소 등의 노력은 결국 삶 속에서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는 데 있다”며 “이러한 행동의 배경엔 우리가 남에게 ‘가해자’라는 인식의 전환이 뒷받침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관의 차이 ‘뚜렷’

그간 미세먼지 대응에 대한 민·관 교류가 부족했던 점은 이날 참석자들의 발언을 통해 엿볼 수 있었다.

도 미세먼지 대책과는 이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의 단계별 대응에서부터 발생원 관리에 이르는 중장기적인 대응 현황을 설명했다.

교류의 '부족'은 참석자들의 발언을 통해 엿 볼 수 있었다. <사진=최용구 기자>

하나 이러한 지방정부인 경기도 측의 대응 현황에도 불구하고 시민들 사이에서는 여러 문제가 제기됐다.

원탁회의에 참석한 한 시민은 “외적요인을 찾는 것만큼 발생원을 찾아야 한다. 발생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게 시민들의 불안 요소”라며 “발생원을 찾아서 해결하고 꾸준히 감시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지방정부의 가장 큰 목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대응책이 신통치 않았다는 해석에 무게가 실릴 수 있는 대목이다. 미세먼지는 더 이상 한국사회에서 누구에게나 상관없는 일이 아닌 만큼 개인, 단체, 정부는 그동안 다양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날 토론회에서도 확인했듯 아직 ‘민’과 ‘관’의 목소리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날 원탁회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각계의 관심과 활동이 잘 맞아 들어가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때라는 요구가 있기에 충분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