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 10년 동안 울진‧삼척에서만 산양 58마리 폐사
환경부, 서식지는 방치하고 수백억 들여 국립공원에 복원

[환경일보] 지난 2월11일 경상북도 울진군 왕피천에서 주민 신고로 구조된 산양 한 개체가 폐사했다.

울진군 금강송면 왕피리에 위치한 왕피천에서 탈진한 산양을 발견한 주민은 대구지방환경청 왕피천환경출장소에 신고했다.

오후 6시경 발견해 오후 9시20분 현장에서 멸종위기종복원센터로 인계됐으나 12일 새벽 치료 중에 폐사했다.

산양은 천연기념물이자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이다. 아울러 울진‧삼척 지역은 우리나라 산양의 최남단 집단 서식지로 보전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왕피천은 환경부가 지정한 우리나라 최대 면적의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산양을 비롯해 담비, 수달 등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다. 이번에 산양이 구조된 곳은 왕피천 생태경관보전 지역 중에서도 핵심구역에 속한다.

현장에서 발견된 구조 직전의 산양 <사진제공=녹색연합>

국립공원에만 종복원 예산 집중

2010년 울진에 내린 70년 만의 폭설로 산양 25마리가 무더기로 폐사한 일이 발생했다. 환경부는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울진에 산양 구조치료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밝혔으나 지켜지지 않았다.

2010년부터 최근 10년간 울진에서 로드킬을 당하거나 아사한 산양은 무려 58마리에 이른다. 멸종위기종 1급이 한곳에서 60여 마리가 죽어나가는데도 환경부는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수백억원을 들여 산양을 복원해 국립공원에 방사하고 있다.

녹색연합은 “살아있는 산양은 죽게 두고 종복원에만 열을 올리는 이유가 무엇인가? 환경부의 비상식적인 정책은 단단히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진 우리나라 종복원사업의 현 주소를 말해준다”고 비판했다.

환경부는 국립공원공단 산하 생물종보전원 중심의 종복원 사업을 극복하고 우리나라 멸종위기종복원과 관리의 컨트롤타워를 세우겠다며 약 800억원을 들여 2018년 영양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를 개원했다.

그러나 센터가 들어선지 2년이 지났지만 설립 취지에 맞는 예산과 인력은 지원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녹색연합은 지난 1월29일 봉화 소천면 일대(태백산 권역)에서 밀렵구에 걸려 폐사한 어린 삵을 발견해 신고한 바 있다. 국립공원을 벗어난 곳은 그야말로 보호의 사각지대다.

녹색연합은 “환경부는 국립공원과 종복원 중심의 야생동물 관리 방안의 모순을 당장 해결해야 한다”며 “영양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체계적으로 멸종위기종복원 서식지 보호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다원화 된 국가 멸종위기종복원 사업을 재편하고,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적절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예산과 인력을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