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생필품·총 사재기와 대조되는 한국 시민의식 잘 지켜야

OECD 사무국이 주요국 코로나19 감염 확산과 관련해 중장기적 대응방안을 제안하면서 한국의 사례를 높이 평가해 주목된다.

또한, 위기상황 종료 후 한국이 2003년 사스 이후 발생 가능한 전염병 유행을 대비했던 것을 예로 들며 코로나19 사태 종료 후 각국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프랑스, 독일 등 국가들도 민간보험과 중앙정부 부담으로 진단검사 및 치료를 진행하지만, 일부 예외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의심되는 거의 모든 경우에 대해 무료 검사를 실시하는 등 가장 적극적으로 검사와 치료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한국은 진단검사 및 그에 따른 치료는 무료이며 비용은 중앙, 지방 정부 및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발병 초기부터 감염 의심 사례 대부분을 검사하고 있으며, 드라이브 스루 진료소 같은 혁신적 검사 방법도 도입해 여러 국가들이 감탄하기도 했다.

또한, 감염 의심 진단대상자가 진료 거부 및 자택격리 위반을 포함해 검사를 거부하는 경우 처벌하는 등 엄격한 규정도 적용하고 있다.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등의 경우 자국 의료시스템의 역량 내에서 심각 상황의 환자들에게만 제한적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 특히 주목받는 것은 추적 및 치료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이다. 디지털 진단, 조기경보 및 감시용 목적으로 빅데이터 및 생활 정보가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및 이동 관련 데이터로 환자 동선 추적, 접촉가능자 파악 등이 가능하다. 증상이 경미해 병원에 입원하지 않고 자택격리중인 확진 환자를 모니터하는데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폰 앱 등 IT 기술도 힘을 발휘하고 있다.

OECD의 호평과 더불어 또 하나 한국이 돋보이는 것은 높은 시민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고, 많은 나라들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생필품 사재기가 이어지고 있다.

비상사태가 장기화될 것을 대비해 식량과 물, 약품, 휴지 등을 챙기려고 대형마트나 상점으로 달려간다. 미국과 뉴질랜드의 사재기 품목에는 특이한 것이 있는데 바로 총이다.

각종 총기류를 구입하려는 행렬이 길게 늘어서 있는 모습은 충격적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 기능이 마비되고, 물자와 식량이 부족해지면서 약탈이 시작될 수 있는데 그때 스스로 집과 가족을 지키기 위해 총이 필요하다는 심리다.

우리도 지난 메르스 사태 등을 겪을 때는 쌀과, 라면, 생수 등이 한때 동나며 큰 불편을 겪은 경험이 있다.

그런데 이번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보이는 모습은 그때와 매우 달라 해외에서도 놀라움을 금치 못하지만, 국민 스스로 자긍심을 느끼게 한다.

사재기의 모습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활고를 겪는 노인들이 푼돈을 모아 나대신 더 어려운 사람들에게 전해달라며 기부한다. 동네 주민들이 모여 마스크를 만들어 무료로 전달하기도 한다.

참으로 어려운 때이지만 희망을 갖고 뜻을 같이하고 마음을 굳게 세워 이겨내야 한다. 이번 위기를 그동안 대한민국 국민이 잊고 살았던 시민정신을 회복하고 다시 도약할 기회로 삼을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