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강댐‧안동댐 시범사업 거쳐 댐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구축

[환경일보]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올해 하반기부터 ‘무인기(드론)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도입 대상은 환경부가 관리(한국수자원공사가 위탁관리) 중인 37개 댐(다목적댐 20개, 용수전용댐 14개, 홍수조절용댐 3개) 시설이다.

소양강댐 등 현재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댐 37개 중 43%는 건설된 지 30년 이상 경과했고, 전체 저수용량도 농업용댐 등에 비해 크기 때문에 평상 시 체계적인 안전점검이 중요하다.

그간의 댐 안전점검은 안전점검 인력이 작업줄 등을 통해 댐의 벽체를 타고 내려가며 맨눈으로 결함 여부를 점검하는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주로 점검자의 경험에 의존해 댐 벽체의 결함을 판단했으며, 일부 구간은 접근이 어렵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따랐다.

이번 무인기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은 인력에만 의존한 점검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인기를 이용해 영상으로 촬영한 후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해 벽체 등 댐의 손상여부를 살펴보는 지능형 안전점검 방법이다.

환경부는 6월10일부터 7월10일까지 진행 중인 국가안전대진단 기간동안 소양강댐과 안동댐에서 무인기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을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자료제공=환경부>

올해 국가안전대진단 대상 댐은 환경부 관리 댐(37개) 중 12개 댐으로, 건설한지 40년이 경과됐거나 최근 정밀안전점검・진단 결과 ‘보통(C등급)’ 이하인 댐이다.

무인기를 이용하면 기존에 인력으로 접근이 힘들어 인력으로 점검하지 못했던 곳도 사각지대 없이 댐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꼼꼼한 안전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무인기로 촬영한 영상 등이 거대자료(빅데이터)로 축적되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댐의 이상유무를 점검・진단하는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도 단계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첨단기술이 도입되면 선제적으로 댐의 보수・보강이 가능하여 기후변화 대비 위기대응 능력이 높아지고, 노후화된 댐의 성능이 개선되어 댐을 오랫동안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하여 위기대응 능력를 강화하겠다”면서 “댐의 수명을 장기간으로 크게 늘려 국민들이 물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