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서울의 한복판에서 생존을 위한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다름 아닌 청계천 상인들의 외침이다.
얼마전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 사업을 올 7월부터 시작할 것이라 밝혔다. 이에 청계천 상인들과 시민환경단체, 관계전문가등 모두다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청계천 복원은 작년 지방선거때 이명박 시장의 공약으로 나온 뒤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다. 이 시장은 지난 시장 선거에서 “8000여억을 들여 청계천을 자연하천으로 복원하면 30조원 이상의 경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서 “개발시대의 잔해인 청계천을 자연하천으로 복원하고 주변을 재개발하면 경제, 환경, 문화 측면에서 침체된 서울 도심을 되살릴 수 있다”며 민자유치 등을 통해 청계천을 복원하겠다고 했다.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다. 청계천 복원은 죽어가는 서울 도심을 살려내는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 사업을 너무도 서두르고 있다. 작년 서울시가 밝힌 바에 따르면 보수공사비는 상판만 바꿀 경우 800억원, 교각까지 뜯어낼 경우 공사기간 3년에 1000억원 가량이 소요되며, 철거한 뒤 청계천을 복원하는 데에는 시 1년 예산과 비슷한 약 12조원이 들것으로 밝혔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사업이 지금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다. 작년 선거때 이슈가 된 청계천 복원 사업이 당장 금년 7월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불과 약 6~7개월 동안 모든 계획과 대책이 다 마련된 듯 하다. 하지만 제시된 계획안과 대책은 모두 납득할만한 수준이 아니며 이해당사자인 청계상인들과의 협의도 아직까지 이뤄진 것이 없다.
더구나 애초에 제시됐던 복원된 청계천의 모습이 너무도 많이 달라져 있다. 개발시대의 잔재인 청계천을 자연하천으로 복원하고 주변을 체계적으로 재개발하겠다던 공약은 인공하천 또는 도심형 하천으로 복원되며 재개발에 대한 뚜렷한 청사진도 막연하게 제시됐을 뿐이다. 특히 교통 대책도 속시원하게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그저 기존 교통체계를 바꾸고, 대중교통이용을 유도하며, 간선도로와 이면도로를 정비하겠다는 정도의 안은 공사시작 후 닥칠 교통난을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태도로 보인다. 물론 그 불편은 모두 시민의 몫일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서울시는 상인들에 대한 보상과 생계유지 대책을 전혀 세우지 않고 있다. 상권은 쉽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오랜기간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상권이며, 그러한 상권이 유지되는 것도 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뒤따라야 가능하다. 더구나 청계천은 서울시민 약 100만이 삶을 이어가고 있는 생계의 터전이다. 막대한 예산으로 상인들에 대한 대책 없이, 또 체계적 재개발 계획과 교통대책 없이 인공하천 청계천을 만든다면 사업진행 중이나 사업완료 후에 쏟아질 비난은 어떻게 감수할 것인가.
그렇다면 서울시는 이렇게 큰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왜 제대로 된 대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가. 답은 간단하다. 너무 서두르기 때문이다. 서두르다 보니 제대로 된 대책이 마련될 리 만무하고 그저 정해진 시간내에 철거하고 복원하고 그런 다음 문제가 생기면 다시 고치자는 식인 것이다. 특히 사업 시작을 7월로 잡은 것은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 이 시장이 취임한 날부터 공사를 시작해 이 시장의 임기내에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싶어서인가. 7월은 우기이다. 장마전선이 한창 한반도를 지날때이며 태풍이 닥치는 시기이다. 만약 7월에 청계천 복원 사업이 시작되고 한강이 범람하게 되면 과연 그 피해와 비난을 서울시는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시민과 상인들 모두 청계천 복원 사업을 찬성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가 너무 서두르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이 시장이 밝혔다시피 복원사업 후 되도록 자연하천에 가까운 청계천과 조화롭게 재개발된 상가, 그에따른 경제적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와 의견수렴이 절실히 필요하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